6장. 리덕스이번 챕터에서 알아볼 주제는 리덕스(Redux) 입니다. 리덕스는 리액트 생태계에서 가장 사용률이 높은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입니다. 리덕스를 사용하면 여러분이 만들게 될 컴포넌트들의 상태 관련 로직들을 다른 파일들로 분리시켜서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으며 글로벌 상태 관리도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이전에 배운 Context API 를 사용해도 글로벌 상태 관리를 할 수 있고 상태 관리 로직을 분리 할 수 있습니다.https://react.vlpt.us/redux/Context API가 존재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이 redux와 전역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쓰는 이유https://yrnana.dev/post/2021-08-21-context-api-redux 옛날옛적 호랑이 담배피던시절(?) 리액트의 러닝커브를 올리는 주범은 redux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리덕스는 리액트를 개발하려면 react-router-dom 과 함께 필수로 배워야 하는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였으며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도 엄청난 양을 자랑했던 그런 라이브러리였다. (reducer, action, ...) 일반적으로 리액트 데이터는 부모로부터 자식으로 props를 통해 탑-다운으로 전달되는데, 이 단계가 너무 많아진다거나 전달을 여러곳에 해줘야하는 경우에 전역 스토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데이터가 필요한 컴포넌트에 따로 공유할 수 있다.https://velog.io/@yrnana/Context-API%EA%B0%80-%EC%A1%B4%EC%9E%AC%ED%95%98%EC%A7%80%EB%A7%8C-%EC%97%AC%EC%A0%84%ED%9E%88-%EC%82%AC%EB%9E%8C%EB%93%A4%EC%9D%B4-redux%EC%99%80-%EC%A0%84%EC%97%AD-%EC%83%81%ED%83%9C%EA%B4%80%EB%A6%AC-%EB%9D%BC%EC%9D%B4%EB%B8%8C%EB%9F%AC%EB%A6%AC%EB%A5%BC-%EC%93%B0%EB%8A%94-%EC%9D%B4%EC%9C%A0상태관리 라이브러리, 뭘 쓸까?다들 리액트 많이 사용하시나요? 프론트 개발자라면 한번쯤은 사용해보셨을 라이브러리라고 할 만큼 인기가 많은 라이브러리인데요, 리액트가 뷰나 앵귤러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은 단방향 바인딩이 아닐까 싶습니다. 리액트는 단방향 바인딩을 지원하기 때문에 부모에서 자식으로만 state를 props로 전달할 수 있고, 자식의 props 를 부모에게 직접 전달할 수는 없습니다.https://velog.io/@danmin20/%EC%83%81%ED%83%9C%EA%B4%80%EB%A6%AC-%EB%9D%BC%EC%9D%B4%EB%B8%8C%EB%9F%AC%EB%A6%AC-%EB%AD%98-%EC%93%B8%EA%B9%8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