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둥이
윌리엄(길근오)
Keep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계속 이어갔으면 하는 부분
- 서로서로 소통을 잘 하고 있는것 같아서 좋습니다
Problem
불편하게 느끼거나 개선이 필요하다 생각되는 부분
- 프론트엔드 분들과 API 를 붙이는 작업이 꽤나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데모 전에 많이 느꼈던 것 같습니다. 그다음 MVP 때는 제가 만들 API를 담당하는 프론트 분과 설계부터 협의를 많이 진행해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Try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다음 회고 때 판별 가능한 것, 당장 실행가능한 것
- 미리부터 프론트 분들과 소통 & 협의를 하고 API를 빨리 넘겨드려야겠다
루체(정경일)
Keep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계속 이어갔으면 하는 부분
- 기한을 잘 지키고, 서로 진행상황을 공유하여 이슈가 발생했을 때 빠른 대응이 가능했다.
- 소통이 잘 돼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했는지, 무엇을 할 건지 팀차원에서 파악하는 것이 좋았다.
- 팀원이 힘들때 서로 도움주려고 노력해서 기한을 밀리지 않고 해결할 수 있었다.
- 문서화를 잘해서 서로 기록을 남겨두어 소통하는데 용이했다.
Problem
불편하게 느끼거나 개선이 필요하다 생각되는 부분
- 프론트 일정까지 지키려면 API를 더 빨리 보내주어야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을 배웠다.
- 프론트와 백엔드의 입장이 다르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Try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다음 회고 때 판별 가능한 것, 당장 실행가능한 것
- 프론트 일정을 고려하여 더 빨리 넘겨주려고 한다.
- 현재 API 담당자를 두었고, api 작성했는지(BE), api 붙여서 데이터 확인했는지(FE) 체크박스를 통해 비동기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을 만들어두었고, 담당자들끼리 더 용이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캉테(강태산)
4L
Liked
좋았던 것 : 팀에서 했던 액션들이 좋았던것, 남에게 좋았던것
- 긍정의 대화가 많이 오간것 같다. 백, 프론트팀 모두 대화를통해 타협점을 찾고 맞춰가려는 모습이 보여 좋았다.
Learned
배운 것 : 1주일 동안 배운 것.
- 프론트엔드와 역할을 분담하면서 신경써야할 부분이 더 많다는것을 배웠다.
- 효율적인 소통을 위해 현재의 개발 상황을 빠르게 공유하는것이 중요하다느꼈다. CD를 통해 실시간 배포를 구성하여 조금 더 원할하게 API호출을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했다.
- 분리된 환경에서 예상하지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것을 배웠다.
- 루체, 다나가 함께 작업하며 Axios의 get호출에는 RequestBody를 처리하기 복잡(?)하다고 했다. 결국 쿼리파라미터로 변경했다. 이전에는 API를 직접호출했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인지하지 못했다.
- 실제로 로그인 정보를 신경써야 했다.
- 기존에는 로그인에 대한 응답을 내려주는데서 멈췄다면, 이제는 프론트가 관리할 수 있는 구조로 맞춰줘야했다. 처음에는 header에 쿠키를 전달했다가, 편의성을 위해 Response body로 변경했다. (맞나?)
Lacked
부족 했던 것 : 팀 액션에 대해서 부족 했던것, 남에게 부족했던 것
- 나는 프론트와 많은 소통을 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담당한 역할이 가볍기도 했고, 큰 문제가 없었다.
Longed for
바라는 것 : 팀에게 바라는 것, 남에게 바라는 것
- 2주만 더 열심히해서 기한 내 완성했으면 좋겠다.
얀주(이한주)
프롱이
비올레(임재현)
Keep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계속 이어갔으면 하는 부분
- 원래 주도적이거나 적극적이지 않은 성격이었는데 팀장을 맡아서 경험해보자는 도전을 하면서 주도적으로 무언가를 정리하거나 의견 조율하는 부분에 있어서 좀 더 주도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어서 좋았다
- 프론트뿐만 아니라 백엔드에서도 일정을 빡빡하게 잡아야 한다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주는 것과 그 의견에 말없이 따라가지 않고 다들 의견을 주도적으로 내시는 것 같아서 좋은 방향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고 느꼈다
- 중간 다리 역할을 하다보니 팀원들이 하고 있는 로직이나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도 많이 얘기를 듣게 되는데 듣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도 계속 검색, 회의 등을 통해 알아보려고 한 점
Try
불편하게 느끼거나 개선이 필요하다 생각되는 부분
- 일정 관리 측면은 역시나 어렵다고 느꼈다. 조금만 서로가 진행하는 부분을 놓치거나 소통이 안되다보면 팀원들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어떤 것 때문에 블로킹되고 있는 건지 놓치게 된 것 같다
- 프론트엔드 일정 관리도 그렇고 백엔드쪽에서도 API가 정확히 언제 나올지 일정을 모르다보니 살짝 지연된 부분도 없지 않아 있었다. 서로 일정 공유를 잘해야 대처가 빠르게 될 것 같다.
- 실시간으로 모여서 회의할 수 있는 시간이나 기회가 적어서 문서화를 잘 해놔야 팀원들간 소통이 좀 더 원활히 될 것 같다고 느껴졌다.
Problem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다음 회고 때 판별 가능한 것, 당장 실행가능한 것
- 중간 데모앱 기한이 끝나고 다시 제대로 마감일자까지 일정을 프론트와 백엔드 간 공유가 되었고, 역할 분배에 대해서 서로 공유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블로킹 되는 부분은 각 담당자와 소통을 먼저 하고 공유해야 할 부분은 노션으로 정리 후 공유해야 할 것 같다
- 프론트엔드 팀원들간에도 얘기가 필요한 부분들은 슬랙에 적극적으로 올려주길 부탁하였고, 저녁에 잠깐이라도 스크럼을 진행하기로 하면서 서로 진행하는 부분에 대해서 공유할 수 있을 것 같다
- 팀장 역할이 익숙치 않다보니 문서화하는 것이나 일정, 팀원간 할 일 정리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들어갔다. 그에 따라 개발 시간이 너무 줄어들어서 앞으로 팀원들에게 의지하고 맡길 수 있는 일들은 맡기는 것이 모두에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나(신다혜)
제닛(정현진)
Keep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계속 이어갔으면 하는 부분
- 같이 얘기한 부분이 회의록이나 기록으로 잘 남는 점
- 서로 요청한 내용에 대해서 피드백과 소통이 잘 이루어짐
Try
불편하게 느끼거나 개선이 필요하다 생각되는 부분
- 각자 역할 분배나 소요기간이 처음에 잘 공유가 안 됐던 것 같음
- API 기간을 프론트에서 먼저 요청을 해도 좋은 방법일 것 같다. 그에 따라 또 조정해볼 수가 있으므로
- 담당자끼리 소통을 하다보니까 팀 전체에 내용이 공유가 안되는 경우가 있었다.
Problem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다음 회고 때 판별 가능한 것, 당장 실행가능한 것
- 노션에 공유할 내용을 미리 써놓고 공유하는 방법이 소통에 도움이 많이 됨
- 담당자끼리 얘기하지 않고 노션과 슬랙에 써서 같이 보이는 방식으로 내용 공유를 보완함
소니(조승희)
Keep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 계속 이어갔으면 하는 부분
- 코드리뷰를 하게되어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Try
불편하게 느끼거나 개선이 필요하다 생각되는 부분
- 회의에 자주 참석을 못하다보니 팀원들과 업무공유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꼈다
- 전체적으로 컴포넌트 설계에 시간을 덜 쏟다보니 확장있는 컴포넌트를 작성하지 못하고 있는 느낌이다.
Problem
Problem에 대한 해결책, 다음 회고 때 판별 가능한 것, 당장 실행가능한 것
- 비동기적으로 소통할 준비. 노션과 슬랙을 적극적으로 활용
- 내가 맡은 예산페이지에 대해 백엔드 개발자와 소통할 준비와 API 명세서 작성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