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피드 단위
- ‘스토리’
- ‘드래프트’
- ‘퍼블리시’
2. 페이지 라우트
- / (1. 메인 홈)
- /:@username (2. 유저 홈)
- /:@username/:title-:story-id (3. 스토리 상세)
- /me → /:@username (2. 유저 홈)
- /me/stories (4. 피드 관리)
- /me/settings (5. 계정 설정)
- /new-story(6. 스토리 생성)
- p/:story-id/edit(7. 스토리 수정)
- /search?q=query (8. 검색)
- /404 (9. 404)
3. 피드를 만드는 방식
Read
- 메인 홈 → 리스트
- ‘Medium’ → medium.com
- 유저 홈→ 리스트(프레젠테이션을 위한)
- ‘:@username - Medium’ → medium.com/:@username
- 나의 스토리 → 리스트(관리가 편한)
- ‘Your stories’ → medium.com/me/stories
- (프로필 ’Medium’ → medium.com/me/settings)
- 스토리 상세 → 아이템
- ‘:title - :username - Medium’ → medium.com/:@username/:story-id
- (리다이렉트 경로 medium.com/:@username:/:title-:story-id)
메인 홈

유저 홈

나의 스토리

스토리 상세

Create
- 네브바 write 버튼 클릭 → 스토리 작성 페이지 이동
- ‘New story - Medium’ → medium.com/new-story
- (타이틀 + 바디) 작성
- 수정하면 드래프트 자동저장
- ‘New story - Medium’ → medium.com/p/:story-id/edit
- (퍼블리시 수정 시 ‘Editing <title> - Medium’ → medium.com/p/:story-id/edit)

수정 중

저장 중

저장 후

- 네브바 publish 버튼 클릭 시 추가 정보 입력 모달
- 프레젠테이션 이미지, 태그

- 모달 publish 버튼 클릭 시 스토리 페이지로 이동
- ‘<title> - <username> - Medium’ → medium/:@username/:story-id
- 모바일에서 작성 X → 읽기에 최적화
update
- 드래프트 - edit / delete

- 퍼블리시
- edit / delete
- shortcut - pin this story / hide responses
- detail - settings(tags, seo, licensing, etc) / stats

Delete
- 스토리
- 상단 추가 메뉴 버튼 클릭 - 메뉴 서랍 오픈
- 하단 추가 메뉴 버튼 클릭(위와 같음)
→ 삭제 버튼 클릭 - 삭제 컨펌 모달
→ 삭제 버튼 클릭
→ ‘410 Deleted by author - Medium → medium.com/:@usename/:story-id’
모달

리다이렉트

- 유저 홈
- 하단 추가 메뉴 버튼 클릭(위와 같음)

- 나의 스토리
- 하단 추가 메뉴 버튼 클릭(위와 같음)
4. 반응형
- 1240 이상(large desktop)

- 1080~1239(small desktop)

- 728 ~1079(tablet)

- ~727(mobi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