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한 일과 배운 내용 중 새로 알게된 내용, 추가적인 공부가 필요한 내용을 적어보아요!
👥 나눈 이야기들
- 이전과는 달랐던 특강 이후 짧은 코어타임: 진행상황 공유
그래프에 대한 내용 공유하기엔 코어타임이 짧았던 것 같다.
내일 17시 30분, 커피챗 직전 클로즈 스크럼때에 서로 코드 보여주면서 공유해 보는걸로.
- Queue(큐) 구현할 때에 delete & shift ( 한수화님이 공유 해주셨습니다! )
delete 사용했을 때의 시간 복잡도 → O(1)
But. 사용했을때 undefined로 될 뿐, 길이는 그대로 이기 때문에 추후 대처가 필요함.
shift를 사용한다면?
시간 복잡도를 고려하고 사용할 것!
특히 백준알고리즘 문제에서 시간복잡도를 잘 고려해야하는 문제들이 많다고 함!
만약 기업 채용 코딩테스트에서 shift를 쓰고 이후 면접에 갔을때 이걸로 질문 공격이 들어 올 수 있지않을까? 라는 망상. 🤣
(shift 왜썼어요? 썼을 때의 장단점 알려주세요. 최악의 시간복잡도는? 다른 풀이 방법도 있나요?)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