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메뉴들
찬규팀 프로젝트 컨벤션키윙 FE 스프린트 회고록트러블 슈팅 노트의사결정 노트삼시세코 FE
💡What We Want
프로젝트 시작 전 최종 프로젝트 프론트엔드 팀원 간 의견 공유를 진행합니다. 각자 최종 프로젝트에서 어떤 방향을 지향하는 지, 어떤 기술을 사용하고 싶은 지, 어떤 개발 방법론을 지향하는 지, 어떤 협업을 진행해보고 싶은지 기술하고 의견을 나누고자합니다.
🚀 김석주
✅지향하는 프로젝트 목표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프로젝트 목표는 우리가 살면서 문제라고 인식하는 부분을 인지, 해결방법을 찾고 그것을 코드로 구현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싶습니다.
그 과정에서 우리가 도출한 기능과 문서를 기간에 맞추어 잘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가지고 있고, 그런 기능들을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면서 잘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모두 즐거웠으면 좋겠습니다.🔥
✅이루고 싶은 기술적인 목표
사실 기술적으로 그렇게 뛰어나지 못합니다. 뛰어나지 못하다고 이야기 하는 이유는 이전에 사용했던 기능들을 제대로 알고 쓰지 않았고, 공식 문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로 사용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기존에 1차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기존에 많은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사용했던 redux, react-query를 목적에 맞게 제대로 사용하고 그것을 문서화하여 근거에 맞게 정리해보고 싶다는 목표가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이미지 최적화, 렌더링 최적화와 같은 기능적인 부분에서도 약간 신경써보고 싶습니다!
약간의 욕심을 부려본다면 UI 라이브러리 도입과 사이트에서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로직들을 구현, 어필해보고 싶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프로젝트의 주 목적은 아닙니다.
추가적으로 실제 유입되는 데이터를 체크하고 분석할 수 있는 툴을 구현해보면 좋을 것 같기도하고요.. 그리고 혹시 jest나 cypress 기반 TDD 해보실…?ㅎㅎㅎㅎ
✅이루고 싶은 협업적인 목표
소통을 더 잘해보고 싶습니다. 이전 프로젝트에서 여러 사유로 중간에 소통이 약간 부족했던 일이 있었는데 그런 간극을 최대한 줄여보고 싶습니다.
Agile 프로세스를 제대로 적용해보고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말이 많은데, 가끔 필요 없거나 의미 없는 말을 한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이야기를 더 이어가고 싶거나 목적을 제대로 생각하지 못하고 얘기하는 경우가 그런 것 같은데 그런 점들을 잘 보완해서 프로젝트 과정에서 소통을 진행해보고 싶습니다!
저는 위 방식으로 작성해봤는데 제 양식과 유사하게 하셔도 되고 자유롭게 의견 작성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김현주
어떤 방향을 지향하는지
테오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개발을 하며 주고받는 팀원들 간의 피드백과 그 과정 자체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편입니다. 모두가 편하게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고, 의견이 다르다면 각자의 근거에 의해 설득하고 결정하고.. 코드 리뷰도 열심히 하고(?) 그게 제일 1순위로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구요. 의견을 나눌 때에는 공감하지 않는 내용이더라도 서로 날선 태도, 무시하는 태도 보이지 않고, 존중하며 듣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모든 팀원들이 의견을 내는데에 부담갖지 않을 수 있고, 이런 의견들이 많아야 의견들을 다 조율하여 가장 베스트를 도출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컨벤션을 최대한 지키며 코드가 통일성 있고, 재사용 할 수 있는 부분은 분리하고, 리팩토링(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고 싶습니다.
지난번 프로젝트에서 아무래도 API에 제한이 있다보니 서비스에 특색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서비스의 특색을 잘 살리고 싶습니다. 유사 서비스가 있더라도 우리 서비스만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새로운 요소가 들어간다면 차별화되고 좋을 것 같아요! (근데 전 아직 주제 관련 아이디어는 없어서… ㅈㅅ합니다)
css적으로는 부드러운 화면 전환이 일어나게 하고 싶어요! 뭔가 변화할 때 부드럽게 애니메이션으로 동작하도록…?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며 개발하고 싶습니다.
어떤 기술을 사용하고 싶은 지
저번에는 zustand, react-query를 사용했는데 개인적으로 둘 다 크게 활용을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일단 react-query를 좀 더 잘 사용해보고 싶어요. 특히 버전5에 들어가면서 onSuccess 이런거 지양하라고 하는데… 그럼 어떻게 사용하는게 가장 적절한지 알아보고 싶네요. 그리고 Suspense, ErrorBoundary 사용하기? 에러 처리를 좀 더 잘 해보고 싶은 마음…
전역 상태 라이브러리는 솔직히 어떤 걸 사용해야할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듣기로는 프로젝트 규모가 크다면 redux가 어렵지만 괜찮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다들 이전 프로젝트에서 어떤걸 사용해보셨는지 들어보고 싶네요!!
그리고 렌더링 최적화같은 것도 관심있습니다!
어떤 개발 방법론을 지향하는지
사실 애자일 방법론은 알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른 분들의 의견을 묻고 싶네요!!
어떤 협업을 진행해보고 싶은지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서로 불만도 없고 후회가 없더라구요.
일단 본인의 상황 솔직하게 공유하기!!!! 질문 주저하기 않기 정말 중요... 저는 기한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게 여기는데, 상황을 공유하며 늦는건 괜찮습니다. 근데 별 말씀 없어서 문제 없는 줄 알았는데 마감 다되서야 문제 있던거 그제서야 공유하고… 그런 상황이 생기면 답답함을 느낍니다. 그래서 좀 이런 것들을 가볍게 공유하기 쉬운 분위기가 만들어지면 좋을 것 같고, 팀원들도 이런 것들 얘기하는 거에 부담을 안가졌으면 합니다. 근데 아마 매일 스크럼하면서 본인 상황 공유하면 이런 일은 안 벌어질 것 같습니다 ㅎㅎ
그리고 문서화를 잘 해보고 싶습니다. 저번 프로젝트 때 매일 스크럼은 진행했는데 기록을 안했더니 그날 그날 저희가 무슨 문제가 있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다 까먹게 되더라구요. 부담 안갖고 러프하게 ㅇㅇ해서 ㅇㅇ함. 정도로라도 한번 기록해보고 싶네요.!!
🚀 박경빈
✅지향하는 프로젝트 목표
이력서에 자신있게 쓸 수 있을정도의 결과물을 내고싶습니다 ! !
사용자가 꾸준히 이용할수있는 프로젝트 만들기?(어렵더라도 저희가 꾸준히 사용할수있는 프로젝트 만들기?)
✅이루고 싶은 기술적인 목표
제가 안써본 기술이 너무 많아서 2차 팀프로젝트때 react-query와 recoil을 사용했었는데 이러한 기술들을 왜 써보는지에 대해서 검색해보고 공식문서를 조금 보긴하였지만 redux나 redux toolkit 사용경험이 거의 없는 편이라.. 명확하게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까지는 잘 몰라서 어떠한 이유로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한번 얘기를 나눠봤으면 좋겠습니다…! recoil은 거의 이번프로젝트 때 저는 사용하지를 않았어서 이번에 프로젝트에서는 recoil이 아니더라도 상태라이브러리에 대한 역량을 올리고싶습니다.
✅이루고 싶은 협업적인 목표
2차 팀 프로젝트 때 초반에 계획을 잘 짜지 못하여 낭비되는 시간이 많았었는데 이번에는 초반부터 계획을 탄탄하게 계획하고싶습니다..(제가 p라…하하,, 뭐든 적극적으로 임하는 태도를 가져볼게요!)
시간이 급해지다보니 제 코드만 이해를 했지 팀원들의 코드까지는 100% 이해를 못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에는 팀원들의 코드까지 이해하고싶습니다 !
🚀 안재현
✅지향하는 프로젝트 목표
사용자가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 싶어요 😊
이전까지 프로젝트들은 실 사용자가 없어서 항상 아쉬움을 느끼고 있었어요. ⇒ 리펙토링의 부재
이번 프로젝트는 기간도 길고 하니 사용자가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보고 싶어요 !! (그러면 홍보를 위해 인스타 계정도 파야하나…?😂)
✅이루고 싶은 기술적인 목표
해당 기술 스택을 왜 사용하는지 이유를 알고 사용하고 싶어요 ‼️
이전까지는 사용하는 것에 급급하여 해당 기술 스택을 왜 사용하는지, 심지어 어떻게 사용하는지 명확하게 알지 못한 채 사용했어요 ㅠㅠ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기술 스택을 선택한 이유를 문서화하기, 해당 기술 스택의 기능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2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어요 ‼️
✅이루고 싶은 협업적인 목표
애자일 방법론 등 프로젝트 방법론 도입해보기
애자일 방법론 등 저희 팀에 맞는 프로젝트 방법론을 제대로 적용해보고 싶어요 ‼️
제대로 된 설계 ‼️ 제대로 된 협업 ‼️
제대로
라는 말이 추상적이긴 하지만 말 그대로 제대로 된 설계와 협업을 해보고 싶어요. 제대로 된 설계가 무엇인지, 제대로 된 협업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진 못하지만, 프로젝트가 끝났을 때 설계와 협업에 대해 후회가 남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것이라 생각합니다 😊실력이 좋으신 팀원분들에게 많이 배우겠습니다….ㅎ.ㅎ
설계 경험과 협업 경험이 적어 미숙할 수 있지만 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팀원 소개

🚀 지휘/조절자(CO) 겸 팀장 김석주
🚀 완결자(CF) 김현주
🚀 추진자(SH) 박경빈
🚀 분위기 조성자(TW) 안재현(인싸가 되고 싶다!)
주차별 변경
스크럼 기록자 : 김석주
커피챗 기록자 : X
테오의 스프린트 → 백엔드 팀원분들과 함께
기술스택 회의 → 주제 정의 후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