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장 분석1) 문제 현상2) 코로나로 생겨난 자기소개 문화2. 핵심 문제 정의운영진, 회원 인터뷰를 통해 아래 2가지 측면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1) 운영진이 겪는 문제2) 회원이 겪는 문제 3. 해결책(서비스 개요)운영진, 회원 문제 해결책4. 가설5. 타겟 분석1) 판매할 타겟: 구성원 친목에 관심이 있는 전국 대학생 동아리 임원진2) 타겟 선정 이유6. 기획 의도7. 기대효과8. 와이어프레임

1. 시장 분석
1) 문제 현상
- 코로나 이후 대학생들은 대학 동기, 선배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게 되었습니다.
- 그럼에도 온라인 조별과제, 오프라인 소모임 등 만남에서 내가 만날 사람이 어떤 사람들인지 알고 싶은 욕구는 존재했습니다.
2) 코로나로 생겨난 자기소개 문화
- 그래서 최근 대학생 단체(SOPT, 프로그래머스 등)에서는 노션으로 자기소개 페이지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 SOPT라는 동아리는 전체 동아리 인구 중 55.6%가 지난 7일 동안 재방문할 정도로 자기소개 페이지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7일 간 방문자: 110명, 전체인원: 198명, 조사 기간: 10.30 - 11.05, 노션 생성일자: 09.25)



💻 프로그래머스 자기소개 상세정보


2. 핵심 문제 정의
운영진, 회원 인터뷰를 통해 아래 2가지 측면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1) 운영진이 겪는 문제
- 자발적 참여: 자기소개는 회원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한데 이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음 (자발적 참여가 없어서 자기소개 페이지가 활성화되지 않은 사례 존재)
- 자기소개 형식: 요즘 사람들이 좋아하는 자기소개 질문, 형식에 대한 고민이 있음
2) 회원이 겪는 문제
- 학력, 개인사 등 부담스러운 질문이 있다는 점
3. 해결책(서비스 개요)
그래서 저희 팀은 조직의 운영진, 회원이 겪는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자기소개 솔루션 '프롤로그'를 만들었습니다.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솔루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영진, 회원 문제 해결책
- 자발적 참여: 소개팅 어플처럼 자신의 자기소개를 등록해야 타인의 자기소개를 볼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GUI 업로드)
- 질문 리스트: 대학생이 좋아하는 자기소개 질문 리스트를 세팅했습니다. 이를 통해 운영진은 요즘 대학생들이 원하는 자기소개 형식을 구성할 수 있고 회원은 부담스러운 자기소개 질문을 피할 수 있습니다.

4. 가설
저희 팀은 '프롤로그'를 실제 대학, 동아리에 판매할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때문에 판매 관점에서의 가설을 수립했습니다.
판매 확률 가설
- 1) 노션 자기소개라는 대안을 접하지 못한 조직일 경우 구매 확률이 높을 것이다.
- 2) 협업을 자주 하는 조직일수록 구매 확률이 높을 것이다.
- 3) 조직 구성원이 친해지지 않은 초기일 경우 구매 확률이 높을 것이다.
- 4) 조직 내 구성원의 수가 많을수록 구매 확률이 높을 것이다.
5. 타겟 분석
1) 판매할 타겟: 구성원 친목에 관심이 있는 전국 대학생 동아리 임원진
- 조건1: 가까운 시일 내에 신규 회원을 모집하는 동아리
- 조건2: 한 기수 모집 인원이 40명 이상인 동아리

2) 타겟 선정 이유
- 학기가 끝나가는 대학생들이 대외활동을 찾고 있는 시점
- 동아리 임원진이 교체될 시기
- 대학은 3월에 개강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 판매하기엔 적절치 않음
6. 기획 의도
- 20학번부터는 선후배, 동기가 누군지 모르는 단절된 세대가 됨
- 과거에는 일단 만나서 인스타그램 팔로우를 하며 서로를 알게 되었지만 지금은 만남이 없기에 동기가 어떤 사람인지 알기도 어려움
- 코로나 전: 만남O → 서로를 알게 됨 → 만나서 놀고 친구가 됨 코로나 후: 만남X → 서로를 알 수 있는 계기가 없음
- 그래서 새로운 노션으로 하는 자기소개 문화가 등장했지만 현재 대안은 한계가 분명함
- 현재 대안의 문제를 해결하여 새로운 자기소개 문화를 만들기 위해 기획하게 됨
7. 기대효과
- 코로나로 인해 학교와 동아리의 선후배, 동기를 모르는 세대의 문제 해결
- 코로나가 해결된 이후에도 내가 속한 조직의 구성원을 알아가는 솔루션이 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