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론트 동작에서는 잘 만듯 것 같다.
- 비밀번호 형식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하면 좋을 것 같다. (특수문자 포함 등)
- 정책이 바뀔 경우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사용자가 정책을 따르도록 요구하거나 강제한다.
- 안 따르면 로그인 할 때마다 정책 안내를 보여줄 수 있다.
- password는 길이만 validation만 했는데, 숫자나 문자 들어가는게 요즘 추세인데 그런것들을 하면 좀 더 좋았을 것같다.
- 기존 유저들을 password를 안내해서 비밀번호 변경을 강제할 수 있을 것같다
- login 할 때, Authorization Header 넣고도 로그인이 되는 상황이 되는데, 어떤 상황이 더 좋은 정책인지 고려해봐라.
- access-token을 다시 줄 수도 있겠지만,
이미 로그인 되었다고 보여줄 수도 있을 것같다.
유효한 access token 입니다.
는 왜?- 토큰을 탈취해서 악용한다면 ?
- 마르코는 액세스토큰이 만료되었다면 로그아웃 된 상태가 아닐까 생각한다.
- 자동로그인 만들 때는 어떻게 할 것인가?
- 로그아웃이 없다.
로그아웃 상태를 고민해봐야한다.
- 액세스 토큰도 저장이 필요하다.
- 그래서 redis 필요하다.
- 수입 조회 도중 400으로 상태코드를 내려보냈는데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을때 404가 더 맞는 것같다
- 다른 유저의
유저카테고리의 아이디로 할 때 권한이 없다라는 메시지가 맞는지
- 수입 등록 시 초(시간)을 넘겨주지 않는 이유?
- 일반적으로 초까지는 저장하니까 질문해봤음
- 프론트엔드 설득이 힘들어서 타협해 분까지만 저장하기로 함
날짜 형식이 잘못 되었을 때 터지는 exception이 많다
- bind exception, time format excpetion 등 구체적인 예외 말고 통합적으로 예외를 던지고 싶다.
- 저거를 위해서 excpetion handler를 따로 둬야 할까?
- 슬랙 개인 질문으로
pathvariable 로 하면 막 보낼 수 있다.
- 다른 유저꺼도 보낼 수 있는데, 지금은 sevice 레이어에서 하나씩 다 체크한다.
- service에서 체크해야한다.
- filter에서 공통로직으로 처리 할 수도 있다.
- filter에서 repository를 가져와도 될까?
- 된다. 상관없다. 많이 그렇게 한다.
- 인가는 앞 단에서 막는 경우도 많다.
amount는 숫자에 대한 제한을 두어야 한다.
- overflow 항상 염두해야한다.
필터에서 사용자 맞는지 인증하는지 물어봤는데, 안하네요 허허..
- 필터에서 인증, 인가 처리 다 가능하다.
일일 상세 내역조회 페이징 처리
- 페이징 기준이 사용자가 작성한 날짜 (지금은 5일 치 날짜가 나옴)
- 페이징이 많으면 오류가 생길 수 있다.
- 페이징 기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 지금은 많음
- 마지막 페이지를 프론트가 알아야한다
- 모르면 터질 때까지 프론트가 요청해야함
달력 조회
- month가 왜 있는지?
- 프론트에서 month 데이터 요청
- path variable이 8.10 일까지 들어있는데 왜 월별 데이터가 나오나?
- localdate를 사용해서 이상한 형식이 되었다.
- year=2022&month=8 형태로 했을 듯
- 리소스를 받는게 아닌데 localdate 다 받는게 이상하게 느껴졌다
예산 등록, 수정을 한 번에 하려고 PUT을 사용함
- 마르코도 똑같은 상황
- 초기 값이 이미 세팅이 돼 있었다.
- 사용자는 추가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업데이트였다.
- 이 방법이 잘못된 방법은 아니다.
- 이유가 있으면 가능
N + 1 문제는 잡았는가?
- 캉테가 열심히 잡아줬다.
-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하면서 작성
프로젝트 하면서 힘들었던 거 다음 주 회고에 말하기
- 문제 발생 → 해결
- 문제 발생 → 해결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