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현
INT(4바이트), BIGINT(8바이트), LONG(8바이트) → bigint와 int만 auto increment가 적용됨
아노테이션 만으로 cors 설정을 하는 법
흑구님 주요 피드백 → 팀원의 리뷰를 공유해서 팀원 분 코드에도 적용이 될 수 있도록 부탁합니다.
- 에러에 대한 처리 → 비즈니스, 레포지터리 로직 내 발생하는 예외처리를 try catch문 대신 사용하기
@ResponseStatus ← 예외 처리 클래스에 사용해서 예외가 발생하면 지정한 status code로 응답을 시켜준다.
특정 컨트롤러 내 @ExceptionHandler 메소드 ← 특정 컨트롤러 내에서 예외 처리만 담당
@RestControllerAdvice 내 @ExceptionHandler 메소드 ← 빈으로 등록된 모든 controller나 restcontroller에 대한 예외 처리 담당이 가능하게 됨
- 유효성 검사 처리 @NotNull @NotBlank @Min @Max @Valid @Validated
- Dto의 필드는 Wrapper 클래스로 지정해 값의 입력이 없는 경우 null이 되도록 해야 한다. (primitive의 결측값은 유효한 입력값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정해민
keyholder를 사용한 부여된 id 값 확인
테스트에서 사용하는 코드는 따로 분리해야 된다. (ex. 테스트를 위해서만 사용한 deleteAll 메소드 )
@Valid, @Validated의 차이점 중 하나로 애노테이션의 사용 가능 위치가 있다
- @Valid :
METHOD
,
FIELD
,
CONSTRUCTOR
,
PARAMETER
,
TYPE_USE
- @Validated :
ElementType.
TYPE
, ElementType.
METHOD
, ElementType.
PARAMETER
@JsonCreatoer
최지훈
simpleJdbc의 insert를 사용한 id 값 가져오기
Long id = jdbcInsert.executeAndReturnKey(params).longValue();
최현웅
DTO사용범위
ExceptionHandler를 사용한 예외처리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