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한 기술 스택
⏰ 30초
Main
- React
- Typescript
- Vite JS
React 관련 라이브러리
- react-query
- recoil
Code Formatting
- Prettier
- ESLint
CSS
- Emotion
Communication
효율적 소통과 협업을 위해 아래와 같은 도구들을 활용했습니다~
- Notion
- Slack
- Git & Github
협업 방식
“적절한 동기 소통과 비동기 소통 그사이”
⏰ 30초
Git (C)
🙋♀️ main - branch - PR - merge ⇒ 브랜치 전략
- PR 템플릿
- PR 템플릿을 사용하여 리뷰어들에게 직관적이고 일관되게 변경 사항을 알릴 수 있도록 했습니다.
- PR approve 규칙
- PR approve 규칙을 이용하여 최소 두명의 승인을 받아야지 main 브랜치에 merge 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main 브랜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사람들이 작성한 코드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의 이해력을 높이는 효과를 얻었습니다.
- 또한 리뷰를 받음으로써 프로젝트 전반의 코드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었습니다.
- P1 ~ P5
- 리뷰의 중요도를 나누어 선택적으로 리뷰를 반영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1일수록 중요하고, 5일수록 덜 중요한 규칙입니다.
- Slack 동기화
- 알람을 github 와 동기화 해서 불필요한 소통을 줄이도록 했습니다.
- Git issue
- 이슈 관련 얘기를 Git issue 기능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소통을 줄이도록 했습니다.
일정 관리
- 스크럼
매일 오픈 스크럼, 클로즈 스크럼을 진행하여 논의 사항 & 계획을 공유했습니다
- 스프린트
마감 일정을 맞추기 위해 일주일 단위로 계획을 작성했습니다.
- 칸반 보드
칸반 보드를 작성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개발 사항, 늦어지고 있는 개발 사항에 대해 공유했습니다.
- 스크럼, 칸반보드 템플릿
템플릿을 작성하여 일관된 형식으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Slack, Discord
- 그 외
그 외 필요한 소통들은 디스코드와 슬랙으로 해결하였습니다.
와이어 프레임
⏰ 30초
- 랜딩 페이지와 로그인 등 4개 페이지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다양한 유저 편의 기능을 담당하는 헤더 / 푸터를 포함하는 레이아웃을 적용하였습니다.
- 이를 통해 유저의 편의성을 중시하는 디자인을 채택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