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서
서비스명 및 아이디어
- V.IF
Veganism If?
"비거니즘이라면?" 라는 의미를 가진 서비스 명- 비거니즘(Veganism)에 관심 있는 사람들과 알고 싶은 사람들의 정보 공유 및 소통을 위한 SNS 서비스
팀명
- 세꿈이 - 세 명의 꿈을 이루는 사람들
아이디어 발상 동기
소비의 가치가 소비자의 가치관으로 옮겨가면서 사회적 가치나 의미를 소비를 통해서 표출하는 '미닝아웃'이 소비 트랜드로 자리잡았습니다. 이에따라 동물 착취에 반대하는 철학을 가진 비건 시장 또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1년 8월, 한국채식연합 집계 결과에 따라 국내 비건 인구는 올해 250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습니다. 2008년에 조사한 15만명 에서 지난해 200만명으로 10배 이상 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식품 뿐 아니라 비건 브랜드 협업 등을 통해 비건시장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성장이 무색할 만큼 비거니즘 소비자들이 이용할 만한 SNS, 커뮤니티의 활성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저희 팀은 비거니즘 소비자들을 위한 SNS를 고안했습니다. SNS를 통해 커져가는 비거니즘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목소리를 내며 자유롭게 문화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디어 내용
- 아이디어 전개
- 비거니즘에 관련 내용을 SNS 방식으로 소통 공간 만들기
- 핵심 기능
- 포스트 게시 및 생성
- 댓글을 통한 소통 기능
- 현재 접속한 팔로워/팔로잉 인원 안내
- 사진 위주의 게시글 리스트
- 타겟 이용자
- 건강을 위해 채식에 관심이 생긴 사람
- 비거니즘에 대해 관심 있는 사람
- 비거니즘이 궁금한 사람
- 타 서비스와의 차별성
- 같은 성격의 커뮤니티(Cafe, Facebook Group 등) 자체 플랫폼으로 존재하지 않아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자체적인 플랫폼 서비스 운영을 통해서 접근성을 높입니다.
- 대부분의 커뮤니티가 잘 활성화 되어있지 않아서 경쟁이 적습니다.
- 글 위주의 내용이 아닌 사진을 통한 게시글 게시로 부담을 낮추어서 접근성을 높입니다.
- 서비스 방식
- Desktop과 Mobile(Web App)을 제공해 어디서든 사용 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높였습니다.
구현 계획
계획한 아이디어에서 기본적인 기능과 SNS 기능을 포함해 우선 순위를 정했습니다.
- 사용 라이브러리
- React
- ContextAPI (상태관리)
- Storybook
- 사용 협업 툴
- Figma (Wireframe, UI)
- SourceTree
- Notion (회의록 및 아티클 정리)
- Git Project (ISSUE 관리 및 일정 계획 관리)
- 필수 구현 API (1순위)
- 인증
- 유저
- 포스트
- 좋아요
- 댓글
- 팔로우/팔로잉
- 검색
- 추가 구현 API (2순위)
- 알림 기능
- 내 정보 변경/패스워드 변경
기대 효과
해당 아이디어에 대해 기대할 수 있는 이점 및 효과입니다.
- 국내 시장에서 비건 관련 서비스가 없거나 작은 단계이기 때문에 초기의 서비스가 될 수 있습니다.
- `GS리테일 달리살다`와 같은 친환경 서비스에 대한 매출 성장 기록이 높고, 다양한 확장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투자 가치가 높습니다.)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714
- 단순하게 비건이라는 채소 관련 내용 뿐만 아니라, 멸종 위기 동물를 통한 향수 제작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홍보해서 동물 보호에 도움이 됩니다.
- 접하기 힘든 비건 관련 기업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경로가 되고, 다양한 비건 관련 상품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 채식주의자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며 사회의 여러 다양성이 확장됩니다.
기타사항
-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