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적보고서📊 회차별 진행률 (완료된 이슈 / 총 이슈)📊 회차별 스토리포인트 변경치 (스프린트 도중 스토리포인트 변경 수치)스프린트 1회차스프린트 2회차스프린트 3회차스프린트 4회차스프린트 5회차스프린트 6회차
📚 실적보고서
📊 회차별 진행률 (완료된 이슈 / 총 이슈)
- ⛔️ 4회차 이슈 : 기능 개발 중단 및 기술 스터디 시작을 위해 중단
- ⛔️ 5회차 이슈 : 기술 스터디 및 문서화 작업
📊 회차별 스토리포인트 변경치 (스프린트 도중 스토리포인트 변경 수치)
- ⛔️ 1회차 이슈 : 스토리 포인트 미산정 상태로 시작
스프린트 1회차
- 개발환경 셋팅, 협업 규칙 정하기, 역할 분배, 팀원간의 지켜야할 10계명 등 개발에 들어가기 전 골격을 구성하는 기간으로 가져갔습니다.
- 팀원 모두가 협업을 거의 처음 경험해보고 지라를 이용해서 진행하는 것 또한 처음이라 백로그 생성 및 워크플로우 등의 이해도가 낮아 차트가 올바르지 않게 그려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스프린트 2회차
- API 개발 위주로 진행이 되고 있었지만 백엔드 개발자라면 기본적인 프론트 지식도 알아야 하기 때문에 페이지 개발과 같이 진행하면서 프론트에서는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원하는지를 백엔드 입장에서만 생각하는게 아니라 프론트의 입장에서도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완료된 이슈]
- 사용자
- JWT 개발
- 로그인, 사용자조회 API 개발
- 팔로우, 팔로잉 카운트 API 개발
- 로그인, 회원가입 UI 개발
- 게시글
- 게시글 이미지 조회 API 개발
- 게시글 좋아요, 취소 API 개발
- 게시글 수정, 삭제 API 개발
- 게시글 간단조회 API 개발
- 게시글 작성 UI 개발
- 공통
- BaseEntity 추가
- 테스트코드 규칙 정하기
[미완료 이슈]
- 사용자
- 이미지 조회 API 개발
- 개인페이지 UI 개발
- 게시글
- 메인페이지 UI 개발
- 게시글 서비스 테스트코드 작성
- 댓글
- 댓글 조회 API 개발
- 공통
- Controller Advice, 공통 에러코드 정의
- Exception 깔끔하게 처리하는 방법 연구
- Flyway 스터디 진행
- Swagger, RestDocs 스터디
- 데이터베이스 Lock 스터디
- 시큐리티 트러블 슈팅 문서화


스프린트 3회차
[완료된 이슈]
- 사용자
- JWTAuthentication 리팩토링
- 사용자 팔로우, 언팔로우 API 개발
- 팔로우한 아이디 조회 메서드 개발
- 게시글
- PostService 테스트코드 작성
- PostLike 테스트코드 작성
- Post 도메인 벨리데이션 적용
- 게시글 등록 API 개발
- 댓글
- 댓글 조회 API 개발
- 공통
- Controller Advice, 공통 에러코드 정의
- Exception 깔끔하게 처리하는 방법 연구
- 데이터베이스 Lock 스터디
- Flyway 스터디 진행 및 적용, 시드 스크립트 파일 수정
- Swagger, RestDocs 스터디
- CORS 설정해보기
- 설정 외부화 진행하기
- 파일처리 관련 코드 리팩터링
- UI, CSS 전체코드 리팩터링
[미완료 이슈]
- 사용자
- MemberController 실패 테스트코드 작성
- 개인페이지 프로필 사진 연동
- 팔로우, 팔로잉 목록 조회 API 개발
- 프로필 정보 수정 API 개발
- 회원목록 조회 UI 개발
- 게시글
- 메인페이지 UI 개발
- Post 관련 테스트코드 작성
- 상세조회 API 개발
- 상세조회 UI 개발
- 공통
- 시큐리티 트러블 슈팅 문서화
- member 도메인 패키지 정리


스프린트 4회차
처음엔 남은 기능 구현을 하고자 했지만, 반복적인 노가다성 작업들은 의미가 없다고 판단되어 기술 문서를 작성하고 프로젝트의 세팅 고도화를 노리는 것으로 목표를 변경 해 스프린트를 중단하게 되었습니다.


스프린트 5회차
- 기술 문서를 잘 채우자는 목표 아래, 프로젝트를 조금 더 단단하게 만들며 커서 페이징, JPA Criteria(동적쿼리) 등을 사용해보며 성능과 깔끔한 코드를 고민하며 백엔드 개발자로써 기본 소양을 다지는 기간을 가졌습니다. 또한, 프론트엔드와 협업을 대비해 Swagger를 사용해보며 API 명세 기술을 습득했습니다.
- 설정 외부화
- 민감 정보 은닉, 암호화
- API 요청 로깅
- Cursor Paging (커서 페이징 중복 이슈 해결)
- JPA Criteria 동적쿼리
- Swagger
[완료된 이슈]
- 공통
- 패키지 구조 개선하기
- Swagger 적용하기
- 시큐리티 트러블 슈팅 문서화
- 데이터베이스 Lock 적용해보기
- 데이터베이스 Lock 문서화하기
- Paging 스터디 진행하기
[미완료 이슈]
- 사용자
- Member 도메인 Criteria 적용
- 외부화 알아보기
- 팔로우, 팔로잉 목록 조회 API 개발
- 프로필 정보 수정 API 개발
- 회원목록 조회 UI 개발
- 게시글
- Post Criteria 적용하기
- Post 조회 페이징처리
- 메인페이지 UI 개발
- 썸네일 이미지 커서 페이징 적용하기
- 댓글
- 댓글 조회 NativeQuery에서 Criteria 변경하기
- 댓글 관련 코드 리팩터링
- 공통
- Logging 관련 스터디
- member 도메인 패키지 정리
- PR Test 자동화하기


스프린트 6회차
[완료된 이슈]
- 사용자
- Member 도메인 Criteria 적용
- User Request 벨리데이션 추가
- 게시글
- Post Criteria 적용하기
- Post 조회 페이징 처리
- 메인페이지 UI 개발
- 썸네일 이미지 커서 페이징 적용하기
- 상세조회 API, UI 개발
- 수정 API, UI 개발
- 공통
- Logging 관련 스터디
- Swagger 적용
- 커서 페이징 문서화하기
- flyway 설정 외부화하기
- security 설정 고도화
- submodule readme 작성
- Swagger 문서화
[미완료 이슈]
- 사용자
- Member, 시큐리티 리팩터링
- 팔로잉, 팔로워 목록 Criteria 적용
- 게시글
- Post 리팩터링
- 메인페이지 UI 개발
- 썸네일 이미지 커서 페이징 적용하기
- 댓글
- 댓글 조회 NativeQuery에서 Criteria 변경하기
- 댓글 관련 코드 리팩터링
- 공통
- 외부화 알아보기
- Logging 관련 스터디
- member 도메인 패키지 정리
- PR Test 자동화하기
- 트러블슈팅, 이슈 문서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