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청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전달해서 서버의 액션이 일어나게 하는 것

- start-line
1) method
2) 요청 타겟
3) http 버전
- header
- content-type : 메시지 데이터의 원래 형식 & 적용된 인코딩을 설명(body가 있을 때만), ex) application/json
1) connection 같은 일반헤더
2) host, user-agent 같은 요청헤더
3) content-type, content-length 같은 표현헤더
- body (optional)
- GET, DELETE등 리소스를 가져오는 것은 body 필요x
- POST 같은 요청은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
1-1) 단일 리소스 : 헤더 두개(content-type, content-length)로 정의되는 하나의 파일
1-2) 다중 리소스
응답
⇒ 요청에 대한 서버의 답변

- start-line
- 상태 코드에 대한 짧은 설명(ex. Not Found.)
1) 보통
HTTP/1.1
인 프로토콜 버전2) 상태코드 (요청의 성공 여부)
3) 상태텍스트
- header
- connection, date, keep-alive 같은 일반헤더
- server 같은 응답헤더
- content-type 같은 표현 헤더
- body
1-1) 단일 리소스 - content-type, content-length로 정의되는 길이를 아는 하나의 파일
1-2) 단일 리소스 - 인코딩 되는 길이를 모르는 하나의 파일
1-3) 다중 리소스 (보기 드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