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바르게 구현한 경우 GET, HEAD, PUT, DELETE 메서드는 멱등성을 가지며, POST 메서드는 그렇지 않다.
- 웹 서버는 여러 클라이언트의 커넥션을 가질 수 있음
- https에 ssl 이 있음
- 트랜잭션이 완료되었을 때 웹 서버는 트랜잭션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로그를 로그파일에 기록함
- 캐시에 요청이 왔을 떄, 그에 대응하는 사본이 있어 처리하는 것을
캐시 적중(cache hit)
라고 부름.
- 대응하는 사본이 없어 원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캐시 부적중(cache miss)
라고 부름.
- 캐시가 요청을 처리하는 비율을 캐시 적중률(혹은 캐시 적중비), 혹은 문서 적중률 (혹은 문서 적중비)이라 부름.
- only-if-cached
15. 이상적인 해결책 중 하나는 서버로 요청이 가지 않도록 하는 것임. 캐시에서 로그를 갖고 있는 것인데(적중) 이는 크기 때문에 다루기가 어렵고, 표준화도 되어있지 않음. 뿐만 아니라 인증과 프라이버시 이슈도 있음
- 게이트웨이에 대한 설명으로 단순해서 거의 모든 HTTP 서버가 지원함.
- 웹 터널은 HTTP의 CONNET로 메서드를 사용하여 커넥션을 맺음.
19.
- 로봇들은 다른 HTTP 클라 프로그램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HTTP 명세의 규칙을 지켜야 함.
- 로봇은 콘텐츠 요청을 위한 HTTP를 최소한으로만 구현하려고 하기 때문에 요구사항이 적은 HTTP/1.0 요청을 보냄.
- http 2.0

- base-64 인코딩은 바이너리, 텍스트, 국제 문자 데이터를 문자열로 받아서 전송할 수 있게,그 문자열을 전송 가능한 문자인 알파벳으로 변환하기 위해 발명됨.
- 301(Moved Permanently)
- Content-Length를 판별할 수 없다면
400 Bad Request
응답을, 유효한 Content-Length를 요구하고 싶다면411 Length Required
응답을 보내면 좋음.
- 대칭키는 인코딩할 때 사용하는 키가 디코딩할 때와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