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능이 4개로 나눠지는 것이 좋다.
- 기술적으로 단,장점이 없다.
- 면접때 할말이 없다…
- 비즈니스쪽으로 정책이 있는 것이 좋다.
- 신고 기능
- 조회수 어뷰징
- 이미지 저장
- 할 수 있는 범위를 정해라
- 고민을 많이 해라
- 캐싱 → 스프링 캐시, → 서버가 두개면 ??
- 이런 고민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 굳이 많은 걸 하지마라
- 사용했다 중요 X → 결과가 어떻게 되고 뭘 했냐
- 디테일, 깊게 생각해봣나
- 문제 인식 → 처리하기 위해 발전
- 달꺼면 알아야 한다.
- CI/CD
- 도커
- 무중단 배포
- 부하 테스트
- 속도 개선 경험
- 함께 자라기
- 코드 리뷰
- 웹 서버랑 캐시
- 테스트에 확장
- 시간이 없다….
- 5명이라도 1명이 짠것처럼 해라
- 일관성있는 코드
- 구아바 , 아파츠 커먼스
- nginx 특징
- 롬복 알고 써라
- VO 쓸거면 불변임을 나타내라
- 의미없는 코드를 쓰지마라
- 라인 하나 띄우는 것도
- 쓴 이유가 있어야한다.
- 빌더 → 위치 제대로 알아야 하기 때문에
- 코드는 짤때마다 의미가 있어야 한다. → 의사소통
취업지원하면서
- 자소서에 쓴 내용은 다 알아야 한다.
- 나의 프로젝트는 다 알아야 한다.
- 예외 처리 → 필터 → 인터셉터
- 자신감을 가져라
- 모르겠으면 당당히
- 길게 봐라
- 현실과 타협할 줄 알아야 한다.
- 조금 되면 면저봐라
- 라이브코딩 → 하던대로
- 리트코드 인터뷰 이지 수준 탑 100
- 더 효율적으로 리팩토링
- 첨삭을 받아라
- 매일 스터디 최대한 자주
- 이론 돌리기
- 주제 선정 → 공유 → 피드백
- 정하고 만나서 질문
- 일주일마다 주제
- 개인적으로
- 휸수 ㄱ
- 몇접때 예시가 중요하다
- 파생되는 지식도 다 알아야 하고 근거 자신감
- 다 같이 잘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