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데이터 표현법, 컴퓨터가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진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자.
- 16개의 값을 표현하려면 몇 비트가 필요할까?
- 2^x = 16 즉 4개의 비트가 필요함.

- 2개의 16진수를 표현하면?
- 8개의 비트가 필요 즉, 1개의 바이트가 필요함.
- 1바이트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16진수 자리는 2개.

- FFFFFF 이거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은데..
- 바로 색상값!
- 0x 대신 #을 사용하지만 결과적으로 16진수임.
- RGB
- 빛의 삼원색(빨강, 초록, 파랑)을 이용해 색을 표현하는 방법.
- 보통 한 색의 채도를 [0, 255] 값을 표현 즉, 총 256 단계의 채도. (0은 채도가 없다는 것임)
- 그리고 여기서 256은 2^8임.
- 각각 8비트로 표현이 가능.
- 예를 들어 빨간색은 16진수로 #FF0000, 10진수로 (255, 0 ,0)이라고 표현.



- 메모리나 저장매체의 데이터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단위는?
- 1바이트 = 8비트
- 하지만 8진수의 경우 이러한 데이터 접근법에 적합하지 않음.
- 그래서 컴공에선 8진법을 많이 안쓰고 16진수를 사용하는 것임.


- 32진법(base 32)과 64진법(base 64)
- 두 진법 모두 메모리 접근에는 별로 유용하지 않지만 요즘은 은근히 쓰임.
- 사례 1) URL에 허용되지 않는 문자를 URL에 포함해야 될 때 ex) 물음표(?), 슬래시(/)
- 사례 2) png를 HTML 파일 속에 포함할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