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청 성공 시 HTTP 상태 코드 200과 함께 요청에 대한 응답 본문(response body)이 반환되고, 요청이 실패한 경우 code와 msg로 이루어진 에러 코드를 반환합니다.
⇒ 요청과 error 응답 포맷 별개
- 성공 시 →
response data + 상태코드 200
id 값, List 는 Object 로 한번 감싸서 전달
삭제 시 : 상태코드만 전달 or id 값만 전달
- 실패 시 →
✔️
Naver
- 요청 성공 시 → resultcode + response data
- 요청 실패 시 → errorCode + errorMsg
- List에 대한 응답 → 일괄적으로 “data”로 묶어서 전달하는 듯!
확정 된 사안
1. id 값은 object 로 만들어서 return 하기
2. List 값은 object 로 만들어서 return 하기
3. 성공 실패 구분은 custom 필드가 아닌, 상태코드로 구분하게 하기
4. 에러 reponse 와 성공 reponse 는 포맷을 다르게 가져가자
단점 : list 같은 경우는 타고 들어가는 뎁스가 더 많아지는데 이렇게 감싸는 이유가 뭘까…
list 접근하려면 getBody → getData → getListData 이렇게 가야함
@GetMapping("/user/id/{userId}")
public BasicResult<UserResponseDto> findUserById() {
return BasicResult.from(userService.findById(userId));
}
@Getter
@Setter
public class BasicResult<T> {
private T dat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