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5까지 각자가 생각한 컨벤션 리스트업 및 방향성 공유 동영, 나영 멘토님들께 여쭤보고 정리해서 09.05에 공유컨벤션리팩터링 방향참고할 만한 리팩터링 링크컨벤션참고 자료 찾으면서 고민 중…리팩터링 방향참고 자료 찾으면서 고민 중…참고할 만한 리팩터링 링크리팩터링 1 - Refactoring 1리팩터링할 코드 영역을 꼼꼼하게 검사해줄 테스트 코드들부터 마련해야 한다. 테스트를 작성하는 데 시간이 좀 걸리지만, 신경 써서 만들어두면 디버깅 시간이 줄어서 전체 작업 시간은 오히려 단축된다. 한 가지를 수정할 때마다 테스트하면, 오류가 생기더라도 변경 폭이 작기 때문에 살펴볼 범위도 좁아서 문제를 찾고 해결하기가 훨씬 쉽다. 조금씩 변경하고 매번 테스트하는 것은 리팩터링 절차의 핵심이다.https://sungjk.github.io/2021/03/20/refactoring-01.html리팩터링 2 - Refactoring 2함수 구성과 이름 짓기는 가장 기본적인 저수준 리팩터링이다. 그런데 일단 함수를 만들고 나면 다시 고수준 모듈로 묶어야 한다. 변수가 주변 코드를 리팩터링하는 데 방해가 되면 인라인하는 것이 좋다. 이름이 좋으면 함수의 구현 코드를 살펴볼 필요 없이 호출문만 보고도 무슨 일을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먼저 변경 사항을 살펴보고 함수 선언과 호출문들을 단번에 고칠 수 있을지 가늠해본다.https://sungjk.github.io/2021/03/31/refactoring-02.html[영상 후기] 리팩토링의 작업 흐름 - 마틴 파울러TDD 리팩토링: 가장 일반적인 리팩토링이다. (1) 테스트를 만들고 (2) 성공시키고 (3) 리팩토링한다. 테스트가 먼저 필요하다. 리팩토링을 할 때 실수하지 않기 위해서다. 기능 개발과 리팩토링은 분리해서 작업한다. 기능 개발과 리팩토링 작업을 빠르게 오갈 수 있지만, 자신이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어야 한다. 쓰레기 줍기 리팩토링(Litter-Pickup Refactoring): 이상하거나 더러운(yuck) 코드를 발견했을 때 고친다.https://mytory.net/2020/12/29/workflows-of-refactoring.html개발자의 애질리티이 글은 토스페이먼츠에 입사하신, 혹은 입사를 고려 중인 개발자분들을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애자일하게 일한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일까요? 한 시간을 일하면 한 시간 만큼의 가치를 만들어 내는 방식이 아닐까 합니다. 예를 들어, 동작하는 함수를 구현하거나 난해한 개념을 이해하는 식으로요. 과거에는 프로젝트 진행 초기부터 분석과 설계에 많은 시간을 투자했습니다.https://toss.tech/article/dev-ag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