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로 리액트 개발을 하면서 dom관련 타입에 막힐 때 어떤식으로 해결해야할지 궁금하다.
타입의 문서를 어떻게 뜯어보시는지? 혹은 어떻게 검색을 하시는지? 좋은 자료나 팁이 있으신지 궁금하다.
현재 작성한 코드들에 대해서 타입을 맞게 명시한건지, 타입스크립트를 잘 사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타입스크립트는 어떤 식으로 공부해야하는지 꿀팁 같은 것도 궁금하다ㅎㅎ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타입스크립트에서 타입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이 되지 않으면 "any" 타입을 사용해도 될까요?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일단 동작하게 만드는 것이 먼저인지, 깔끔하게 필요한 코드만 작성되어 효율성이 높은 코드를 만드는 것이 먼저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