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의 성장을 위한 피드백입니다.
보완할 점이 있다면 자세하게 작성해주세요 ~.~
특이사항
면접 운영방법 바꾸자.
민형님에게 전달하기

- 면접분량
- 프로젝트 단위 / 코어 질문(블로그)
- 프로젝트 단위: 한번에 1개씩
- 코어질문: 하나의 챕터 (html,css | js | react .. ) → 1주일 1개
- 순서대로
- 질문 + (주제에 맞는 더 궁금한 거 묻기)
- 별표 위주로 준비 + 본인에게 물어볼 거 같은거 (css in js)
- 실제 면접처럼 임하자
- 면접시간
- (3인) 15분 → 최소 30분
- (4인) 20 ~ 30분
피드백
천욱
면접관 피드백
- 전역 변수의 문제점 → 머리 속에 1번 문제, 2번 문제같이 정리가 되어 있다면 면접 답변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을듯 (불필요한 설명이 포함됨)
- 전역 변수를 억제하는 방법이 무엇인가? → const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한다고 했는데 그 외에 다양한 억제 방법도 같이 설명하면 좋을듯
- 외부 스코프에서 내부 스코프로 참조할 수 없는 이유 → 단방향 링크드 리스트라고 정확하게 답변했다. 꼬리 질문으로 단방향 링크드 리스트에 대한 준비도 같이하면 좋을듯
- 어떻게 React Portal을 이용하여 Modal, ToastUI 컴포넌트를 구현했나요? → 너무 디테일하게 모든 로직을 설명하기보다 질문자가 이해할 수 있게 추상화하는 방법도 고려해봐도 좋을듯
- CSS 라이브러리를 정하는 기준이 무엇이었나요? → 사용해본 CSS 라이브러리의 특징과 같이 설명해주면서 자신의 주장(이 라이브러리가 좋았다 같이)을 함께 공유해주면 좋을듯
- TanStack-Query를 사용한 이유 → 서버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다 → 서버 상태 관리를 모듈화할 수 있다? 이렇게 설명해도 좋을듯 → swr 대신 TanStack-Query를 사용한 이유도 같이 설명하면 좋을듯 → 천욱이가 답변한 부분은 swr에서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임
- var, let, const → 함수레벨 스코프 → 스코프 개념
: var, let, const는 잘 설명한 듯. 간혹 “참조할 수 있는 것 처럼” 동사만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목적어까지 말해주세요
- var → let, const 로 변하게 된 배경, 이유?
: 본인의 생각을 말해줘도 될 거 같습니다. 함수레벨 스코프 → 블록레벨 스코프 : 스코프가 더 작게 쪼개지면서 전역변수 오염 줄어듬.
- vite 사용한 이유 → esbuild 사용해서 빠르다 → 왜 esbuild 사용하면 빠른지까지 답변준비하기
- Oauth 로그인 적용 & 리코일로 상태관리 → 어떤 걸 상태관리함?
- 잘모른다할 때 목소리가 엄청 작아짐 + 머쓱하게 웃는 거 안좋게 보일 거 같음
명재
면접관 피드백
수화
면접관 피드백
- 명재
- 천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