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차 강의(4/20)가 헷갈려서(어지러워서) 적어놓는 스레드. 잘못된 내용이 있을 확률이 높으며 공부하실 겸(?) 정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ispatcherServlet은 서블릿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Controller는 서블릿이 아니다!
ApplicationContext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RootApplicationContext(부모)
- 입출력에 구애받지 않는 비즈니스 로직
- WebApplicationContext(자식)
- 각자 하나의 DispatcherServlet을 갖고
- 매핑되는 @Controller 클래스들을 갖고 있다.
- 특정 기준에 따라 나눌 수 있다.
ex) 도메인
한빈
- DispatcherServlet을 사용할 경우 클라이언트 요청이 ServletContainer의 Servlet타고 Spring Container의 DispatcherServlet으로 전달되는지? 아니면 ServletContainer의 역할을 SpringContainer가 대체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