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내영
- Boolean('false') => true 인데 false 라고 무의식적으로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js에서 타입 변형이 굉장히 자유롭게 이뤄져서 왠지 모르게 그렇게 생각했었습니다.😂
- class에서 arrow function이나 일반 function이나 똑같이 작용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class에서 arrow function을 사용하면 함수가 class 생성자 안으로 들어가서 상속 시 자식의 method를 오버라이딩 할 수 있다는 것과, 함수가 생성자 안으로 들어가서 인스턴스 별로 함수가 중복으로 만들어 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dom 객체를 직접 건드리지 않고 상태 관리를 통한 코드 작성을 다시 배우게 되었습니다.
👨💻김재호
- 변수 선언 키워드에서 var만 hoisting되는 것으로 이해하였는데 let, const도 hoisting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변수를 선언하였을 때, var는 변수 생성단계(선언→초기화→할당)에서 선언과 초기화가 같이 진행되고 let, const는 선언단계까지 진행되어 코드 내에서 선언 전 호출시 undefined와 Error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컴포넌트 내 변화(데이터 추가 삭제 등)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reflow를 최소화 하기 위해 신경써야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DOM에 요소를 반복적으로 추가하는 것보다 createDocumentFragment과 같이 빈노드에 추가하여 완성 후, DOM에 추가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함수 내에서 기능을 최소화하기 위해 쪼개다보니 변수 및 함수명 작성에 고민하는 시간이 늘었습니다.
👨💻조계진
- 바닐라 JS만으로 상태 관리가 가능했다
- 함수도 반복이 가능하다(제너레이터)
- 다양한 브라우저 내 스토리지
질문
- 객체나 배열에 대해선 웬만하면 const를 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let을 써야만 한다는 경우나 실무 적용 사례
- CSS에 대한 중요도(현재 무지한데 뚝딱하면 나올 정도의 지식이 있어야 하는지), CSS를 다루는 기술로 preprocessor, 여러 라이브러리(CSS in JS 등)가 있는데 무엇부터 배우는 게 나을지
- 현재 맡고 계신 업무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조승희
- 자바스크립트 클래스는 사실 prototype의 원리로 동작한다
- typeof는 모든 정확한? 타입을 알려주지는 않는다. 정확한 타입을 알려면 typeof 대신 Object.prototype.toString.call()을 사용하자
- 주로 innerHMTL을 사용헀었는데 innerHTML 메서드는 보안상 문제가 있다.
- 함수의 매개변수도 호이스팅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undefined)
질문
b
는 클로저에 의해 메모리에서 사라지지않는걸로 이해했습니다
a
는 참조하지 않으니깐 메모리에서 사라지는 걸까요??
-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가 스코프 전체인지, 아니면 사용되는 값만인지 궁금합니다
- 최근 면접을 몇 군데 봤는데, 제가 못본건지 잘본건지 모르겠습니다. 면접을 잘봤을 때 시그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개인프로젝트할 때 가장 한계에 부딪히는 부분이 디자인적 부분입니다. 멘토님은 토이프로젝트를 하셨을때 어떻게 해결했는지 궁금합니다
- 내가 원하는 기술 스택을 가진 회사가 아니라도 일단 입사해서 경험쌓기 vs 좀 더 준비해서 원하는 스택을 사용하는 회사 가기 (뷰 사용하는 회사 vs React 사용하는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