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에 의도에 맞게 대답 - 검정
- 의도와 조금 다르거나 부족함 - 노랑
- 대답을 잘 하지 못함 - 빨강
주제1.
- 본인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답변
- 장점
- 개발자로서 장점 :
-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 다른 방향으로 새는 경우가 적다.
- 프로젝트나 협업에서 강점
구체적인 사례를 물어봤을 것 같아요
- 프로젝트 이후 리팩토링 회의할 때, [UI 관련 코드와 디자인시스템] ~~~
- 현재 목표에 대한 부분을 짚어줌으로, 뱃머리를 돌렸던 경험
- 단점
- 말에 대해서 필터링 없었다. ⇒
너무 솔직하다.
꼬질
왜 고치려고 하는지, 어떻게 고치려고 하고있는지- 솔직하게 말한다고 해서 팀이 발전적으로 나가진 않더라.(기분만 안좋아지는)
- 내가 스스로 제어 중
- 예시가 있으면 좋긴하겠다.
- 남들이 평가하는 창민님은 어떤 사람 (
같은 질문
) - 성격이 조용한 편인데, 열심히 참여한다.
- 코드적으로는 깔끔, 섬세
꼬질
남들이 보는 단점- 필요이외에 조용했다? ⇒ 자신감있으면 좋겠다.
- 창민님은요?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잘 정리를 하고 있거든요.
- 다수 회의 때 더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겠다.
-
피드백
- 워딩을 조금 바꿔야할 필요가 있다.
- 페어리뷰에서 ~~~렇게 말하더라 도 괜찮을듯.
- 자기어필 좀 더 해도 될듯
의도적 뜸들이기
- 같이 일하고 싶은 개발자는 어떤 사람인지. 반대로 일하고 싶지 않은 개발자는 어떤 사람인지
- 답변
- 하고싶은 사람
- 자기 의견을 적극적으로 말하는 사람
- 하기싫은 사람
- 자기 의견을 적극적으로 말하지 않는 사람
꼬질
그런 사람이 있다면?-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편
피드백
- 나의 단점과 하고 싶은 사람이 같다는 모순이 발생! +_+ ⇒ 아닐수도
의도적 뜸들이기
- 개발자가 되고 싶은 이유. 특히 프론트인 이유
- 답변
- IT는 전망이 좋아서, 보안을 선택했다.
- 보안을 배우면서 안맞다. but 언어를 배우고 코딩을 할 때 재밌다.
- 그때 졸업프로젝트로 프론트엔드 했을 때 너무 재밌었다.
꼬리
서버는 재미가 없었나?- 서버는 재미가 없었다. 시각화가 되지 않아서 재미를 느끼기 힘들었다.
- 진정성이 느껴졌다.
꼬질
졸업프로젝트 때 어떤 거했나?- 안전한 길찾기 프로젝트 설명
피드백
- 아~ 솔직하구나 아 ~ 진정성은 느껴지네
- 졸업프로젝트 이야기가 장황해지며, 뭘 말하고 싶은건지 어려웠다.
의도적 뜸들이기
- [기술] formik 라이브러리로 폼 상태를 관리한 이유가 있을까요?
- 답변
- form 관리를 위한 boilerplate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선택
- 간단한 form의 경우, 제어컴포넌트 방식 사용
꼬질
customHook에 비해서 얻을 수 있었던 확실한 장점- Provider형태로, 바로바로 사용할 수 있었다.
피드백
면접자들
질문을 좀 더 날카롭게 시도해볼 것
의도적 뜸들이기
- [기술] 두가지 프로젝트에 모두 Typescript를 사용하였는데 사용 이유, 타입스크립트를 도입했을 때의 장/단점
- 답변
- 학습, 트렌드 측면에서 도입
- 솔직히 왜 필요한지, 장단점에 대한 검토를 많이 하지는 못했다.
- 그러나 썼을 때 느낀 장점은 컴파일 단계에서 바닐라에서는 잡지 못했을 에러를 잡아낼 수 있었던 것
- 자동완성 기능은 정말 편했다.
단점
- 없었다.
피드백
- 이 사람이 솔직한 건 알겠어. 근데 수동적일 수도 있겠다.
- 스타일의 차이 : 진짜 나를 보여주겠다.
나는 나야. 뽑을래 말래.
- 면접관의 스타일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도 있겠다.
의도적 뜸들이기
- [기술] 스팸 개발시 가장 어려웠던 점이 무엇이었는지?
chequiz에 비해 keyword가 적어, 딱히 한 부분을 물어보기 어려운 느낌이 있었음
- 프로젝트 전반
- 백엔드와의 첫 협업
- 프론트가 해야할 일, 백엔드가 해야할 일을 구분하지 못했다.
- API 가 프론트가 주도했다. > 일정산출의 차질
- 백엔드에서 요청
- API 설계를 하면서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이해를 하게 되어서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었다.
- 단, 일정을 고려했을 때, 백엔드가 했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 생각
- 개발적
- 큰 어려움은 없었다.
피드백
- 솔직함과 수동적의 경계에 있다는 느낌
꼬질
왜 프론트 주도했는지꼬질
백엔드가 API 주도해야한다에 동의하시는지- [기술] 스팸 개발시 본인인지 아닌지에 대한 부분
.. 잘 이해 못했음다
이력서 해당 부분 이해가 조금 어렵다.
- 본인 프로필과 다른 유저의 프로필을 구분해서 렌더링
- 구분에 대한 기준은 로그인 시 로컬스토리지에 저장해둔 유저 정보와 비교해 판단
- 하지만 쿠키로 로그인을 판별하기 때문에 프로필 API를 요청했을 때 받는 데이터로 구분해야 한다고 생각
전체적인 피드백
직관성 - 무슨 말을 하려는지 빠르게 이해(good), 말하려는 바를 꼬리질문을 통해 이해 (bad)
구체성 - 묻는 개념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good), 묻는 개념의 일부만을 이야기함 (bad)
정확성 - 올바른 개념에 대해 이야기 (good), 잘못된 정보, 여러 개념을 혼합하여 이야기함 (bad)
태도 및 자세 - 말하는 속도, 강약조절, 자신감, 몸짓의 변화가 적절하다 (good)
창민 후기
- 답변하는데 어려움은 없었다.
- 정리된 느낌은 조금 부족했다.
- 여유가 있어보였고, 최대한 솔직하게 말한다라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