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들과 알고리즘 스터디를 진행할려고 하는데 알고리즘 스터디 해보셨나요??!해보셨으면 이런식으로 진행해라!라는 꿀팁이 있으실까요?멘토님은 라이브러리나 특정 언어를 공부하실때 어떻게 공부하시나요??얼마나 깊이 공부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지원하고 싶은 회사가 하는 서비스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하는게 회사 지원할때 유리한가요??멘토님께서는 신입을 뽑으실때 성장가능성을 어떤걸로 확인하시나요??멘토님께서 생각하실때 이직을 하기위해서는 어떤걸 준비를 해야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멘토님은 취업 준비를 어떻게 해오셨는지 궁금합니다!멘토님을 공부할 때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를 선택함에 있어 어떤 점들을 고려하여 선택하셨는지 궁금합니다앞으로 공부해야 할 방향을 정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저번에는 개발자의 불황과 같은 절망편에 대해 말씀해 주셨는데 혹시 희망편도 있을까요?멘토님께서 생각하기에 좋은 포트폴리오란 어떤 포트폴리오인가요?지금 바닐라 JS 로 상태관리를 하며 컴포넌트를 분리하는 과제를 하고 있는데, 해당 과제가 어떤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또 바닐라 JS 의 기본기를 어느 정도로 잡아야 할까요?프로그래머스를 진행한지 이제 한달이 되었고, 5개월이 남았는데 남은 5개월동안 충분히 배우고자 한다면 취업에 무리없이 성장할 수 있을까요? 정말 열심히 노력한다는 전제 하입니다!실무에서 많이 사용하시는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는 무엇인가요? 타입스크립트 공부하셨던 꿀팁이 궁금합니당!회사 내에서도 팀만의 분위기 차이가 있나요? 프론트 엔드, 백엔드, 마케팅 부서…등등 어느쪽이 더 활발하다거나, 덜 활발하다거나 하는 게 있나요?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인터렉티브한 웹/앱을 만드는 능력도 중요할까요? 기본적인 역량으로 요구될지 궁금합니다!올해 초에 배포했던 서비스를 유지보수하는 것을 여름방학 때 진행할 예정인데, 어떤 부분을 신경쓰면 좋을까요? 최근 Vite같은 좋은 번들러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 webpack을 꼼꼼히 공부해보는게 중요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