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았던 점
- 동료간 꼼꼼한 코드리뷰 진행
- 팀원간 활발한 의사소통으로 상황 공유 및 문제 해결
문제점
1) Message 관련 DB table 이슈(컬럼 추가, table 추가 등) 발생으로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
위 문제로 해당 기간에 동료들의 작업을 원활히 파악하지 못함
2) 프로젝트 초반에 설계(api, db)를 철저히 하지 않아 다시 설계를 하게 됨
해결 과정 및 시도
1) Message 관련 이슈는 거의 종료되어감
+ Message 관련 시나리오에 대비해 적절한 table을 설계하는 능력이 부족했음
+ 해당 이슈 중간에 시간을 내어 팀원 code review를 해서 진행상황 catch up 함
2) 1주차 내에 다시 토대를 잡아서 이후에는 약간의 수정만 하였음(Message 관련은 제외)
Keep
- 이슈 관리, 코드 리뷰
Problem
- 테스트 코드 작성 미비
- 에러 핸들링 미비
Try
- 이런 문제가 발생한 원인은 마음이 급해서. 마음이 급한 이유는 일정 계획을 처음에 제대로 세우지 않고 작업하다보니 작업 상황이 현재 어떤 위치에 있는지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 → 일정 계획을 점검한다.
좋았던 점
- 팀원 간 코드리뷰 + 서로 맡은 바 충실
문제점
1) 예외처리 어디까지? - 해결
해결 과정 및 시도
1) 컨트롤러 이전단(ex. filter)에서 발생하는 예외는 처리하지 않기로 함.
2) 접근 가능하지 않는 사용자가 요청을 할 경우(시나리오상 불가능하더라도) 예외처리 하도록 함.
Keep
- 팀원들과 매일 어떤 부분의 개발을 했는지 공유하는 점
- 해결이 어려운 문제를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의견을 내는 분위기가 형성되어있는 점
Problem
- 기능 개발에 들어가면서 시간을 많이 투자해도 계획한 시간보다 일정이 미뤄지는 점
Try
- 하루 일과 계획을 꼼꼼히 짜고 자투리 시간 잘 활용하기
문제 사항
- Template Component style Props 속성 우선순위로 인해 적용이 안되는 이슈
- 자체 style로 주는 경우, 우선순위가 높아 css가 적용안되는 현상 발생 > styled Component 또는 class로 수정 필요
- formik에 form입력했는데 onSubmit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
- header에서 로그인 처리 후 app에서 전역으로 내려주는 isLogin의 변화 감지 못하는 상황
- 카카오 로그인 처리 로직 관련 이슈
해결 방법
- props로 받은 style을 나중에 선언하게 되면 나중에 선언된 값이 추가로 씌워지기 때문에 속성의 순서를 변경하여 해결
- validator의 key를 동적으로 받게하여 해결
- context api를 이용하여 해결
- 프론트에서 카카오로부터 인가코드 받은 뒤, 백에게 전달하는 방향으로 해결
느낀 점
- 인증쪽부터 다른 기능들이 동기적으로 처리되어야 함을 느꼈다
- 인증쪽이 개발되는 동안 인증이 필요없는 로직을 먼저 구현하고 있었던 점이 좋았다
- 생각보다 기능 구현에 딜레이가 있었지만 초반에 일정을 타이트하게 잡아둔 덕에 페이스를 유지하며 잘 되어가고 있는 것 같다.
- 문제 상황에 놓일 때마다 해당 문제에 대해 백둥이, 프롱이 모두 같이 해결책을 논의한 덕에 진도가 빠르게 나갔던 것 같다.
- 서버에 대한 요청이 있을 때마다 빠르게 대처해주시는 백둥이들 덕에 프로젝트가 수월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 프롱이들끼리 디코에 항상 상주해 있으며 자주 일정 체크를 하는 덕에 프로젝트가 수월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