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선정 완료
코뮤니티
- 개발 스터디 그룹 매칭, MBTI 성향 테스트 + 매칭
- 카테코리를 보고 성향에 맞는 사람들끼리 매칭
- 작은 게시판(커뮤니티)
킬러 기능 확정
기본 기능
- MBTI 검사를 심플하게 진행한다. 질문만 4개만 True or False 로 답할 수 있도록 질문 준비 (네 아니오) → 간이 MBTI 로 결정
- 원래 본인 MBTI 를 알고 있는 유저는 그냥 입력을 받는다.
- 간이를 하되, 좀 더 디테일한 MBTI 정보가 알고 싶다면 MBTI 검사 사이트로 갈 수 있도록 주소를 보내줌.
- 스터디 그룹 매칭 시스템
- 그룹 모집 공고(카드) 를 보고 멤버가 그룹을 선택하게 하느냐 본인 MBTI 와 같은 그룹만 매칭을 시킬 것이냐 고민이 필요
- 선착순이 아닌 스터디 그룹을 만든 방장이 스터디원으로부터 요청을 받고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도록 의결권을 주자.
- 방장이 선택을할 수 있기 때문에 스터디 조건이 부합하더라도 신청을 받을 수 있다. 어차피 선택은 방장마음.
- MBTI 검사를 언제할까? 필수정보 입력받고 MBTI 검사 진행.
- 게시판?
인증방식 (제외 확정)
- 달력에 도장을 찍어서 출석을 체크하는 방법
ADVANCED 기능
- 같은 팀원을 평가할 수 있음. 상대방에게는 비공개. 자기와 잘 맞았던 성향을 가진 멤버리스트를 가지고 나중에 기회가 되면 다시 매칭을 시켜줄 수 있도록 한다.
- 스터디 그룹이 잘 유지가 되면 달마다 포인트를 지급해서 스터디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포인트를 지급하기 위해서는 유저가 열심히 참여하고 있는지 인증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간단하게는 출석인증)
- 하나의 스터디 그룹이 그 날 스터디한 자료를 정리해서 볼 수 있는 보관함? 같은 것을 만들자. → 서버 디비가 아닌 링크만 던져주자.
- 지역정보가 필요. 지역정보는 카테고리같이 태그로 둔다. (회원 정보에 거주지 정보 필요)
- 스터디를 만들 때 경력(연차)을 조건으로 걸수있다. 회원가입을 할 때 경력(연차)을 입력받자!!
- 깃허브 API 받아와서 경력에 대한 인증을 할 수 있는 수단으로 두자.
- 스터디 신청 응답 시간 알림 (최대 3시간 이내 응답. 신청 - 수락/거절)
협업 명세
프론트 : Figma
백엔트 : Spring REST DOCS
협업 방식 결정
Slack 일일 할일 정리(FE: Github, BE: )

통합 스크럼 회의 일정 조율
매주 월 - 전체 회의(스크럼, 오후 6:00)
다음 회의
- 킬러 기능 완성
- 페이지 그리기
- 페이지 별 목 데이터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