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의 주제
- 자기소개
- 기존 팀에서 궁금한점
- 협업툴(jira, github, notion 등등)
- 문서화(회의록, 이슈 등등)
- 팀 규칙 정하기
- 회의 내용
- 문서화
- 트러블 슈팅까지 문서화하지 말고, 회의록과 이슈 정도는 문서화 하자
- 다른팀의 문서화를 참고해보고 우리팀에 적용해보자!
- 협업툴
- 꼭 jira아니어도 좋다.
- 단 초반에 비즈니스 로직을 꼼꼼하게 명세화하고 서로 소통하는 시간을 많이 가져야할 것같다.
- 팀규칙 정하기(제가 임의로 넣어봤습니다..)
- 회의 시간을 정해놓고 하자
- 제안이 맘에 들지 않는다면 주도적으로 대안을 제시하자!
- A는 조금 상황에 맞지 않는 것같다 (X)
- A는 상황에 맞지 않으니까 B는 어떤가요?(O)
- 그때는 일정이 힘들 것같아요!(X)
- 그때는 일정이 힘드니 이때는 어떤가요?(O) → 비동기 소통에 도움을 준다.
- 당장 대안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해당 회의가 아닌 다음 회의에 근거를 가져와서 다시 얘기하자
- 제안이 맘에 안든다고 백지상태에서 대안 찾다가 회의만 길어진다..
- 근거 없이 말하지 않는다.
- 해봤거나
- 좋은 자료가 있거나
- 조언을 들었거나
- 테스트 코드
- Luce
- Domain 비즈니스 로직 위주로 (단위 테스트)
- service 행위 테스트(단위테스트)
- repository 상태 테스트(단위 테스트) - 커스텀 쿼리만.
- api는 통합테스트로 진행
- Kante, Yanju
- Controller는 mockito 단위 테스트
- service에서 repository 가져와서 통합테스트
- 캉테님은 service에서 DataJpaTest로 필요한 레포지토리만 가져와서 경량화하려했는데 이것도 문제가 있었다… (추후 알려주신다 하심)
- William
- servcie에서 repository 가져와서 통합테스트
- api도 통합테스트
- Dto naming 예시 : MovieCreateRequest
- build.gradle(Gradle)에 checkStyle 넣어서 CI 돌 때 알아서 체크하도록 하기
- CI/CD는 설정하고 개발 시작하자
- aws쓸때는 Java버전 11이상 사용 주의
- Luce 제안 : Controller Service를 작게 만들자 → 맞춰가면서 이야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