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타임🍪그게 뭔가요? 먹는 건가요?❓어떻게 하면 되는데요?⏲️[필수]랜덤 인증 스레드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비도..동기?🤷♀️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울 때🙄잠깐! 오해하지 말아요
코어타임
🍪그게 뭔가요? 먹는 건가요?
- 코어타임 : 누구나 공통으로 활동해야하는 시간
- 13:00 ~ 19:00 (6h)
- 코어 타임을 지키기 어려운 때에는 팀과 매니저에게 공유해주세요.
- 인터넷 접속이 원활한 곳에 있어주세요.
🤝코어타임(Core time)에 대한 부연설명 ✅ 굳이 한국어로 풀자면 '의무근로시간대' 로, 자율근로제 안에서 누구나 공통으로 근무해야 하는 시간대를 의미합니다 긴밀한 협업, 미팅 등은 코어타임을 활용하면 됩니다. ⛔️ 반대로 집중근로시간대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집중근로시간대는 미팅, 회의 등이 전혀 없이 개인 업무만 진행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관련해서는 이 글에서 ‘코어타임’ 검색하셔서 읽어보셔도 좋겠습니다.
❓어떻게 하면 되는데요?
- 코어타임엔 줌에 참여하여 함께 학습합니다!
- 특강, 온라인 세션, 면담, 스크럼 등 누군가와 소통할 땐 반드시 캠을 켭니다.
- 노트북이 없을 땐 휴대폰을 이용하여 캠을 켭니다.
- 학습 형태는 [강의, 코딩, 복습, CS 스터디, 동아리 활동, TIL, 독서, 과제, 포트폴리오 관리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 5개월 뒤의 여러분 모습에 투자를 아끼지 마세요!
⏲️[필수]랜덤 인증 스레드
- 각 과정 매니저가 랜덤으로 인증을 요청하면 10분 내로 스레드에 지금 공부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여 올립니다.
- 촬영 시에는 반드시 사진 속에서 현재 시간이 보여야 합니다!
- 예시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
🤔비도..동기?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 의 특징은 이렇습니다.
- 메시지 수신자가 지금 바로 답을 할 수 있건, 없건 신경쓰지 않아요.
- 이름 부르고 안 기다립니다. 요청사항, 용건을 한 번에 보냅니다.
- 대답을 바로 받아야만 일을 진행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지 않습니다.
- 멘토, 강사님들은 현직 개발자들입니다!
- 때문에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은 필수겠지요?!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울 때
물론,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운/불가한 때가 있습니다.예컨대 이럴 때 그렇겠죠.
- 급한 이슈가 생겨서 당장 뭉쳐야 할 때
-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외부의 요청(강사, 스터디 리더, 스터디원, …)이 있을 때
그 외의 일상적인 업무 상황에서는 항시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합니다.이를 통해 각자의 업무 맥락이 갑자기 끊기는 상황을 최대한 방지합니다.
🙄잠깐! 오해하지 말아요
여기까지 읽다보면 동기적 커뮤니케이션을 절대 하지 말라는건가... 라는 생각이 들겠지만, 아닙니다!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하나로 굳히자는 것도 아닙니다.
- 업무 맥락을 최대한 끊지 말고
- 충분히 비동기적으로 할 수 있는 업무임에도 불구 동기적으로 진행하여 서로의 시간이 묶이고, 의존성이 커지는 상황을 방지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당연히 필요할 때는 동기적으로 할 수 있어요. 하자고 하면 됩니다. 극단적으로 치우쳐질 필요는 없어요.
실제 예시를 통해,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과 동기적 커뮤니케이션의 사례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례1 : 동기적커뮤니케이션

사례2 :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