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ariable environment와 LexicalEnvironment의 Environment Record에 저장되는 내용이 다른가요? 몇몇 블로그에서 Variable environment의 Environment Record(Snapshot)에서는 현재 실행 컨텍스트 내에서 호이스팅이 되는 요소(var, 함수 선언문 등) 저장하고,LexicalEnvironment 구성 요소(정적 환경)의 Environment Record에서는 let,const로 선언된 변수 및 함수 선언문 저장된다고 써있습니다.var, let, const에 따라서 저렇게 다른곳에 저장이 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출처 Javascript의 실행 컨텍스트 및 실행 스택 이해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34138
- Lexical environment에서 식별자만 저장한다면 값은 어떻게 불러오는 것인가요? 실행 컨텍스트와 메모리 공간과의 연관관계가 궁금합니다.
- 리액트 공식 문서에서
this.props
와this.state
가 비동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갑니다.

멘토님, state 업데이트가 비동기인 것은 js의 특성이 아니라 React의 특성이라고 생각했는데, js의 특성이라고 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저는 리액트가 반복적인 렌더링을 막기 위해서 setState를 비동기로 처리한다고 생각했습니당 !!
리액트의 특성 이전에 JS의 특징이기 때문입니다.
// 3초 뒤에 값을 출력하는 함수 f가 있다고 할 때 function f(x) { setTimeout(() => console.log(x), 3000) } const o = { x: 1, } f(o) // 3초 뒤 {x:1}
문서에 React는 성능을 위해
setState
호출을 단일 업데이트로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이 말이 React 때문 아닌가욤? !? setState 호출과 이벤트 함수 호출이 비동기적으로 발생해서 생기는 문제 아닌가요? 그렇다면 더더욱 리액트 특성 아닌가여this.state = async()…
this.state
그렇군요 .. Vue는 비동기 state 업데이트아닌줄 알고 React대신 Vue 를 공부하려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