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 사이즈 추천 서비스
✔️ User
- 신발을 구매할 예정인 사용자
✔️ Needs



- 브랜드 별로, 같은 브랜드라도 모델 별로 신발의 사이즈의 편차가 심하다.
- 매장에 가서 신어보면 원하는 사이즈를 알 수 있지만 한정판 스니커즈 나 매장에서 팔지 않는 모델들의 경우에는 신어볼 수 없다.
- 구매하고 싶은 신발의 사이즈 정보를 알고 싶으면 검색을 통해 지식인, 카페, 블로그 등에서 정보를 얻어야 하는 수고스러움이 있고 데이터 기반 추천이 아닌, 개인의 주관적인 추천인 경우가 많다.

-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정 모델의 사이즈를 토대로 새로 구입할 신발의 사이즈를 추천해주는 사이즈가 존재한다면 정보를 찾아다니는 수고스러움이 줄어든다.
- 충분히 수집된 데이터 기반으로 추천한다면 신뢰성이 높다.
✔️ Insight
1) 신발의 사이즈 정보는 어떻게 얻을 것인가?
- 초기에는 인터넷에 흩어져있는 정보들을 토대로 기반을 만든다.
- 사용자가 신발 추천을 받기 위해 본인의 발사이즈와 착용 중인 모델의 사이즈, 작거나 딱 맞거나 여유롭거나 크거나 하는 사이즈 감을 입력 하면 해당 데이터를 추가한다.
2) 서비스를 어떤 형태로 구성할 것인가?

- 인피니트 스크롤로 모델 리스트 출력
- 기본적으로 인피니트 스크롤로 신발 모델들을 화면 해상도에 맞춰 리스트 출력
-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브랜드나 모델의 이름을 검색 가능
- 브랜드 별, 신발 타입, 성별 등 필터로 출력 제한 가능
- 인기순, 가격 낮은순, 가격 높은순 정렬 가능
✔️ 생각해볼 만한 것들
- 비즈니스 모델로 적합한가?
- 수익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서비스인가?
- 출시 되면 사람들이 사용할만한 서비스인가?
- 현재 존재하는 서비스가 없어 도전해볼만 하다? → 현존하는 서비스가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 실현 가능한 서비스인가?
- 서비스가 정착되기 전까지 신발들의 사이즈 정보를 원활히 수집할 수 있는가?
- 같은 발사이즈를 가진다고 하더라도 발 모양이 달라 신발 사이즈가 다른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가?
- 꽉끈을 위해 정사이즈보다 몇 사이즈를 크게 신는 등 주관적인 영역의 신발 사이즈를 추천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