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제 테스트 할 때 가장 중점을 두고 하셨나요?
- J: 모달 구조를 중점을 두었다.
- 재사용성, 하나의 책임, 스펙을 맞추기 위한
- 재사용성 가능한 컴포넌트
- J: 카카오맵 컴포넌트
- 컴포넌트를 개발하면서 DX 측면을 고려한 부분
- react: clone Element
- 자기소개
- 게임정보사이트를 만들고 싶어서 웹개발 시작
- 피드백이 되는 프론트엔드의 매력을 느꼈다.
- 지식을 공유하는 것을 좋아하고, 개인회고를 기록한다. 공부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했다.
우리맵, 체퀴즈
⇒ 사용자 수, 커뮤니티앞뒤가 살짝 안맞는 느낌?
- 개발을 왜 시작했는가?
- 알고리즘 풀이로 부터 시작 ⇒ 성취감 ⇒ 개발
- 회사는 어떻게 지원하게 되셨나요?
진정성느껴짐
- 프로그래머스 데브매칭 중 가장 가고 싶은 기업
- 노션, 기업문화 등으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
- 신소재공학과 출신으로 연구 도메인에도 관심
- 프로젝트 중에서 자신있는 프로젝트와 맡은 기능
- CheQuiz : 아이디어 도출 과정?
팀장
: 팀원들의 의견을 취합하고 합리적인 의견을 도출- 기술적으로는 어떤 역할을 수행 ⇒ 퀴즈 풀이, 퀴즈 결과
- Context API 사용 이유
- Redux, Recoil 전역상태 필요가 없는 것이 컸다.
- Chequiz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
무난했다.
⇒ 고민을 했던 부분은?- 페이지 단위, 로직 분리의 아쉬움을 느끼고, 구현에 집중을 하게되었다.
- 프로젝트 중 가장 어려웠던 구현 사항과 해결 방법
- 우리맵 중 렌더링 이슈 (load 관련)
일단 이슈 설명이 간결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웠다.
- React 렌더링
- Next.js
- Next 선택 이유?
- 이전 기획과 관련(SSR → 검색엔진 최적화) → 프로젝트 아이디어 변경
- 다수 의견 따른다. 조금 수동적인 느낌
- Next.js 활용했던 부분은?
- lazy loading 관련 이미지 태그, page Routing
- Webpack 에 대한 설명
기본기
- webpack은 번들러, 동작
죄송할건 아니다.
자신감 너무 없어보였잖우
- 어떤 옵션을 사용하고자 했는지, CRA의 속도가 느려서?
- 인증 로직 설계
- accessToken ⇒ localStorage로 관리, refreshToken ⇒ 쿠키로 관리
- 쿠키의 만료 옵션
- 새로고침 시 로그인 유지는 어떻게 처리
- 전역상태관리 tool
- localStorage에서 유저정보를 관리
- Recoil 전역 유저 상태와 인증 로직을 연동하기 위해 axios instance를 커스텀 hook으로 구현
- Recoil
- 어떤 Recoil 사용 이유?
- Atomic 디자인을 활용한 컴포넌트
- 컴포넌트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다?
- 상태라이브러리 중에서도 Recoil을 선택한 이유는?
- Redux와 고민 ( 전역관리 상태가 많지 않았다. 코드량) 다른팀원들 > 수동적
- Recoil 공식문서
- atom, selector 개념에 대한 설명
기본기 ㅠㅠ
- JS 프로젝트
- 옵저버 패턴의 전역상태 관리 모델
- App의 비대화와 사이드바의 전역 상태
- 옵저버 패턴 구현 방법
- defineProperty : …
- 어려웠던 점은?
- 클로저
기본기
- 옵저버 패턴에서 클로저 적용 사례
- 설명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ㅇ…ㅅ ..ㅇ
- Re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