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벤션 정하기
- 코드 컨밴션
- 클래스 들어갈때 한줄 띄고, 닫기전에 한줄 띄기
- 메소드 위아래 개행 없음
- return 전에 한 줄 개행
- return 한줄만 있을 경우에는 개행이 필요 없다.
- 변수 하나마다 한 줄씩 띄기
- Setter는 지양하고 set 대신 change 메소드 정의하여 사용(ex. 회원정보 수정)
- 생성자
- dto entity 정적메소드 of 생성자를 통해 생성 → 변경의 여지가 있다.
- 생성 시 Null 체크 하기
- DTO 컨벤션
- API 별로 모든 DTO를 나눈다.
- API 내부에서만 쓰는 객체들은 InnerClass로 만든다.
- Request
- 일반적인( Controller 통해서 나가고 들로오는 것 ) Request 객체 : XXXRequest
- 검색조건 : XXXParam
- Response
- 일반적인 ( Controller 통해서 나가고 들로오는 것 ) Request 객체 : XXXResponse
- 내부객체 : XXXResult
- 객체 네이밍 전략
- 도메인이름 + 행위 + Request
- 메소드명(저장, 수정 등등 명칭)
- Controller : 좀 더 사용자 친화적인 이름으로~ ( 맨토님 의견 묻기 )
- Service
- 저장 : save, 수정 : edit, 조회 : get, 삭제 : delete
- DTO 필드명 컨벤션
- 원데이클래스→class
- 운영시간
- 시간: 시작: startTime, 종료: endTime
- 페이징 번호, 사이즈
- pageIndex
- pageSize
- id는 도메인+id
- 이미지는 imageUrl으로 통일

- api 검토하기
- 연관관계 매핑하기
- 프론트 분들한테 전달할 내용 정리하기
- 공방 등록시에 주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ui 수정 부탁
- CI/CD 구성 → 지훈
- restdocs 설정→gradle
- AsciDoc으로 HTML 파일이 떨어지는건 확인함
- 단, Build 시 HTML이 만들어지지는 않음 → 확인 필요 → 확인 완료
공부할 내용
- OAuth
- S3 업로드
- 주소→ (여유) Open api 사용하기
해야할 일
- URI 정하기
- 각 Enum 타입 정해서 API명세서에 기입하기
- exception→ 종류, 메세지 코드 ,response
- 끝나고 테트리스 3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