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명기술 스택 검토프로젝트 Repository 이름 변경 및 권한 수정프로젝트 Repository Fork할지 여부 → Fork하기로 결정Prettier 및 ESLint 설정개발 분담Primary Color 선정 → 내일 확정하기이미지 base64로 변환하는 코드Yarn vs NPM → NPMnormalize.css vs reset.css → normalize.css
요약
- 서비스명: 빅토리아(Bigtoria)
- Repository Fork
- 현재 원본 Repo에 main과 develop 브랜치 있음. Fork 시 아래의 옵션 체크 해제해야 develop 브랜치까지 복제됨
- 로컬에 clone한 후 develop 브랜치를 기준으로 작업 진행
- 작업 브랜치명:
develop/feature-name
- PR 제출할 때
develop
←develop/feature-name

서비스명
기존에 생각해낸 이름 스토리북(Storybook)

빅토리아(Bigtoria) ← 메이플 빅토리아 아일랜드
- (s)토리토리
- 스토리넷
- OS(원스토리)
- 데브코스 + 스토리
- 빅토리
- storylog
- hugging
- Mybible
- TimeLineNote → TiliNote
- 파…파라안만자앙…
- Life croquis(인생크로키)
- 아나그램 활용하기
기술 스택 검토
Storybook은 제외하자..!
- Vite
- React
- TypeScript
- Emotion + MUI
- normalize css
- Axios
- Context API
프로젝트 Repository 이름 변경 및 권한 수정
- Off → Bigtoria
- 팀원 권한 부여
- 직접 코드는 건들지 말고 issue, PR, Wiki만 작성
- 코드 변경을 원하면 fork해서 PR 제출하기
프로젝트 Repository Fork할지 여부 → Fork하기로 결정
Fork 여부 논의 → Fork하기로 결정
- 깃헙이 익숙하지 않으면 fork하는 게 더 안전함
- fork한 본인 레포에서 브랜치를 파서 완성되면 원본 레포로 pr을 날리는 것!
- Fork하지 않으면 원본 저장소를 직접 건들게 되어 위험하다.
- fork 레포의 feature 브랜치에서 원본 레포의 develop 브랜치로 pr
- 중간중간 Sync fork로 원본 저장소 상태를 동기화하고, 로컬에서 git pull하자

- 충일님이 Issue, PR 라벨 업데이트할 예정
.png?table=block&id=a8d7900a-c4a8-46be-9b6a-2dea39c3af15&cache=v2)
Prettier 및 ESLint 설정
피그잼에서 논의한 것을 바탕으로 충일님이 설정해주실 예정
(Prettier 기본값은 별도로 설정하지 않음)
개발 분담
기획서 참고본 참고해주세요!
- 일단 더미 데이터로 각자 진행하기
- API는 로컬에서 테스트만 간단하게 하기
- 개발 시 issue 생성(슬랙 알림 연동 O) → 브랜치 생성 → 작업 진행 → PR 제출
- PR 제목에 MD 작성하기
- 컴포넌트 개발
- 페이지 개발
- 기능 개발(API)
기능 개발은 일단 나중에..!
Primary Color 선정 → 내일 확정하기



이미지 base64로 변환하는 코드
const Input = () => { const [imgSrc, setImgSrc] = useState(""); const handleChange = (e) => { const reader = new FileReader(); reader.readAsDataURL(e.target.files[0]); reader.onloadend = (e) => { console.log(e.target.result); }; }; return ( <input type="file" multiple name="pics" accept="image/*" onChange={handleChang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