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 멘토 피드백
- 시연 영상
- 기획단계에서 피그마를 통해 플로우 정의하고 개발을 하신 모습이 매우 훌륭합니다.
- 깃헙을 활용해봤으면 좋겠다는 의견에 더해서 각 이슈들을 Epic, Story, Task 로 구분해서 기능을 잘 사용하시고 도전해보시는 모습도 너무 좋았습니다. 이후에 후기를 글로 남겨보시고 공유하신다면 귀중한 자료가 될 것 같습니다.(하신다고 약속하셨으니 기다리겠습니다)
- 브랜치에서 release가 배포가 되어야 할 것 같고 배포 테스트 목적의 브랜치가 필요하다면 다른 이름으로 작성된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미 사용되고 있다면 어쩔수 없고 다음 프로젝트때는 다르게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배포 브랜치로 관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름이라 새로운 사람이 본다면 헷갈릴 수 있어서요.
- 회고록
- 실제 프로젝트가 어느 정도로 진행되었는지 회고록과 시연 영상에서 확인하기 조금 힘든 부분이 있어서 직접 들어가서 확인했습니다. 잘 하고 계시네요!
- useMemo나 useCallback같은 최적화 관련 훅들은 지금 당장 적용한다기 보다는 어디에 적용하면 좋아질까 같은 고민을 해본다 정도로 만족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실제로 적용을 한다 한들 지금은 눈에 띄는 경험 개선을 확인해보기는 어려울 것 같아서요! 저 내용에 시간을 쓰기보다 현재는 기능이 되는 서비스를 만드는데 더 중점을 갖고 진행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좋은 분들과 협업을 하는데 있어 순한맛의 협업을 느끼고 계신것 같군요! 작업을 하시면서 이 사람이 내가 하는 말에 무조건 반대를 하고 하기 싫다고 한다면 나는 이사람을 어떻게 설득할까 하는 매운맛의 협업을 하는 상상도 해보시는것도 재밌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별의별사람이 다 있거든요. (소리지르는 분도 여럿 봤습니다)
- 공통
- 커피챗때도 말씀 드렸지만, 11월 3일이 마감이라면 1일 저녁 혹은 2일 오전까지는 작업을 마무리 하고 버그 수정을 하면서 발표준비를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코드 프리징 기간을 꼭 두고 나름의 QA시트를 만들어서 기능을 하나하나 테스트 하는 시간도 꼭 가지세요!
- 또한, 코드리뷰를 하는데 있어서 강제성 혹은 의무감에 한다면 이걸 왜 할까?에 대해서 한번 다시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코드만 검증하는게 아니라 브랜치에 들어가서 구현한 기능이 잘 동작하는지도 확인하시고 컴포넌트를 개발했다면 그 컴포넌트를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서도 리뷰를 하는 단계에서 확인해보세요~
- 지금은 프로젝트 기간이 절반정도 지났기 때문에 남은 일정을 좀 더 타이트하게 관리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밤을 새면서 해야한다라는 마인드보다는 정말 이 기능이 우리 서비스에 필요한가? 같은 고민을 하면서 덜어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잘하고 계십니다!
-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완성하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이후에 포트폴리오로 사용하실 수 있는 부분들을 염두해두고 자신이 한 역할을 정리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리아 매니저 피드백
영상
- 오프 2팀 누가 발표하는지 말씀해 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 컨디션이 안 좋았던 건 아니죠? (ㅠㅠ) 쪼오금 다운된 텐션이라서 다른 사람이라면 끝까지 들을까? 라는 고민을 했던 거 같아요.
- UI 모아둔 거 미쳤네용. 짧은 시간에 디자인까지 꼼꼼하게 챙기신 것에 완전 박수 보내고 싶어요.
- 프로젝트 진척도를 파악하기 어려웠던 것 같아요. 잘하고 있는 걸 늘 염탐하고 있으니 최종 때 기대해보겠읍니다!
- 전반적으로 단어 뒤에 스타카토를 주시는 것 같아요. ㅎㅎ 특별히 강조할 내용이 아니라면 좋은 습관은 아니니까 조금씩 고쳐볼까요?
회고록
- 정성적인 회고도 함께 진행했으면 좋았을 것 같아요.
- 최종에는 KPT 회고를 진행해보심이 어떠실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