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한 것
- 시큐리티 + jwt 초기설정
- Room 클래스 Create
- Image - 로컬에 저장
진행할 것
- Oauth 테스트
- jwt 테스트
- 유저 / 예약 부분 진행할 것 같습니다
- Create 리팩토링 + QueryDSL 검색부분 공부중-> Read 부분 // U // D
- Image S3에 저장해서 올리기
질문
패키지 구조 - Jwt & Oauth & Seucurity ,,,
- jwt/exception/ -> exception
- security를 common에서 빼면 좋을 것 같다
- common의 의미 - 어떤 도메인에서도 사용한다 느낌
- security 는 도메인에서 사용한다기 보단 security 따로노는 느낌이 강하다
- 또다른 모듈로 만들어서 가져다 쓰는 방식으로 써도 괜찮을 것 같다.
- 라이브러리화 시켜서 따른 프로젝트에서도 유사하게 쓸 테니 여기저기서 가져다 쓸 수 잇음
- 다른 도메인은 겹치는것이 없지만 jwt는 하나 만들어두면 다른 프로젝트할때도 똑같이 들어갈것!!
- 스프링부트 auto configuration 되도록.. - 당장할것은 아님
QueryDSL
- 아직까진 없다ㅡ 좀 더 진행해보면 무한정 생길듯
숙소 등록시 이미지 처리
이미지 매핑테이블 순서
- 업로드 된 파일 path를 하나 넣어 둔다
- s3패스랑 - 이미지id 매핑시키고
- 매핑 id를 response로 주거나
- 생략한다고 치면, 업로드 된 업로드된 파일Path들을 준다
- 업로드가 다 되면, filePath들을 가지고 있다
- 방 업로드 시킬때 같이 넘겨준다
→ 요약: 먼저 이미지를 S3에 등록해서 filepath를 받아오고, 이미지 filepath 배열을 룸 API 에다가 준다.
stepapi 받아서 마지막에 한번에 업데이트 시키는 것 같긴 한데 굳이 그럴 필요가 없을 듯 하다
Q. 그럼 사진은 삭제를 안하나요? (여기서 취소하면)
A. 아마 안할것같긴함. S3같은곳에 넣고 그냥 주는듯하다
- 이미지가 같으면 굳이 업로드 안하고 걔를 같이 쓴다 이런 처리는 해줄 듯 하다
- 글케까진 할필요 x
oauth하고 jwt 연동
room하고 image 연동
따로 관리할 생각?? - 이미지는 이미지 api대로, 룸은 룸 api대로
컨트롤러 반환타입 Void vs Id값

드래그앤드랍 할때 이미 파일은 업로드 됨
id를 받아서 룸을 업데이트 치는게 에어비앤비에서 하는 형식인것 같긴 하다
우리는 그렇게 하기엔 테이블을 또 만들고 해야하니 그냥 프론트에서 저장하고
준다는 가정하에 한번에 업로드 하는 기능을 만드는 것이 좋을 듯 하다.
테이블에 쌓이는건 룸이 등록될때 쌓인다
- s3 이미지 저장 api
- 이미지 테이블 저장 api
이미지마다 최근 사용 이런것을 작성한당
기간이 넘어가면 삭제한다 이런식도 있음
이미지 업로드 테이블이 필요하다고 한것이
- 동일한 이미지일때 똑같이 두개를 올릴 필요 x
- 정책적으로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 2~3사람 각계정으로 에어비앤비 사진공유 이미지 중복으로 안올린다는 하에
- 이미지 삭제되면 나머지 사람들도 같이 삭제되니까
- 이미지 자체는 삭제하는것이 아닌듯하다
- 갱신날짜 - 3년 넘은 이미지 삭제 이런식으로 관리할 듯 하당
Q. 프론트에서 방정보랑 이미지랑 다같이 모아서
이미지 api 따로, 룸 api 따로 호출하나요???
룸 api 에서는 보내지는 Request → s3이미저장된 filePath를 받아오겠네요???
filePath로 roomImages라는 애를 만들어서
Room이랑 같이 테이블에같이 저장
Room생성해서 images에 넣는다!
- 프론트에서 처리를 해서 카카오 서버에서 정보를 줍니다
- 프론트에서 백앤드로 보내면 백앤드 - 카카오 왔다갔다?
테이블정의는 RDS에 미리 해서 써도 괜찮을 듯 하다
Spring Profile로 로컬 따로
운영서버는 RDS에 걸어놔도 될 듯
정의된 DDL, RDS에 적용, JPA는 create ddl of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