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과 원격지 네트워크 간의 통신은 동작 방식이나 필요한 네트워크 장비가 모두 다름. 원격지 네트워크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장비를 게이트웨이라고 부르고 3계층 장비(라우터와 L3스위치)가 이 역할을 할 수 있음
서브넷과 게이트웨이의 용도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ARP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해 도착지 MAC 주소를 학습할 수 있고 이 MAC 주소를 이용해 직접 통신이 가능하지만 원격 네트워크 통신은 네트워크를 넘어 전달되지 못하는 브로드캐스트의 성질 때문에 네트워크 장비의 도움이 필요함 → 게이트웨이!
ARP 브로드캐스트는 원격지 네트워크로 보낼 수 없다!
- 게이트웨이에 대한 정보를 PC나 네트워크 장비에 설정하는 항목이 ‘기본 게이트웨이’임
- 기본 게이트웨이는 3계층 장비가 수행하고 여러 네트워크와 연결되면서 적절한 경로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함

- 출발지와 목적지 네트워크가 동일한 LAN 내에서 통신하는 것인지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인지에 따라 통신 방식이 달라지므로 이에 대한 확인이 수행되어야 함 → 이 때 사용되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
- 자신의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and 연산을 통해 나온 결과값이 로컬 네트워크 주소에 속해 있으면 로컬 통신, 아니면 원격지 통신임
- 내 IP를 2진수로 표현
- 서브넷 마스크를 2진수로 표현
- 2진수 and 연산으로 서브네팅된 네트워크 주소를 알아냄
- 호스트 주소 부분을 2진수 1로 모두 변경해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알아낸다(네트워크 주소는 파란색 점선 앞쪽, 호스트 주소는 파란색 점선 뒤쪽)
- 유효 IP 범위를 파악한다. 서브네팅된 네트워크 주소 +1은 유효 IP 중 가장 작은 IP임
- 브로드캐스트 주소 - 1은 유효 IP 중 가장 큰 IP임
- 2진수로 연산되어 있는 결과값을 10진수로 변환
서브네팅
네트워크를 나누는 것으로 네트워크 ip를 분할하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