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았던 점
민철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수시로 문서화를 진행한 점이 매우 좋았다: 코드를 짜든 자료를 찾든 수시로 문서화를 하는 것이 개인적인 작업 스타일인데 마침 팀원들도 문서화를 적극적으로 지향해서 작업하기 매우 편하고 좋았다. 프로젝트가 끝나면 양질의 문서가 많이 남을 것 같다.
- 프로젝트 협업을 위한 지식을 적극적으로 전파하고 공유한 점이 팀원으로서 가치 있게 행동한 것 같아 만족스러웠다: Git & Github 협업 방법 전파, Github Issue 및 PR 템플릿 세팅, 슬랙 채널에 Github 저장소 알림 연결, CI 세팅하여 린트 자동 검사 설정한 것들이 팀 프로젝트를 더 나은 방향으로 만들어준 것 같아 뿌듯하다.
- 회원가입과 로그인 폼을 구현하면서 여러 기능을 다채롭게 사용해보고 관심사 분리에 대한 고민을 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 폼 기능은 단순한 기능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스스로 구현해 본 다음
formik
라이브러리를 뜯어 보고 배우려 했었다. 그런데 막상 구현 해보니 API 설계, Context API를 활용한 전역 상태 관리, 페이지 컴포넌트와 UI 컴포넌트의 패턴, 라우팅 처리와 같은 다양한 요소가 얽혀 있었다. 덕분에 API의 성공 결과와 에러 처리에 대한 책임을 어느 컴포넌트가 가져가야 할지 고민해보고 나름의 답도 내릴 수 있었다. 또한 라우팅 처리를 하면서 생기는 메모리 누수 이슈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라우팅 처리를 어디에서 하는 게 합리적인지 고민하고, 리액트 훅의 실행 사이클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진 점도 매우 좋았다. 프로젝트 첫 업무가 많이 성장할 수 있는 쪽이었던 것 같아 좋았다.
- 팀워크와 팀문화가 매우 좋다: 편안하면서도 너무 늘어지지 않게 목표를 향해서 같이 이끌어주고 달려가는 긍정적인 팀워크가 있다. 또한 밤새지 않고 매일매일 건강하게 일하는 문화가 매우 좋다. 진지할 땐 진지하고, 의견이 대립될 때는 합리적으로 풀어가고, 웃으면서 즐겁게 일해서 좋다! 착하고 해맑고 열정이 넘치는 우리 팀원들 최고.
재영
- 팀 프로젝트를 통해 Git을 알게 된 점.
팀 프로젝트가 처음이라
git
과 같은 협업 툴을 잘 다루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기회에 팀원들에게 많이 도움을 받았고, 그래서 더 많이 배울 수 있었던 점이 좋았다.- 팀 단위에서의 업무 흐름 읽기
단순히 코드 작업만이 실력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느꼈다. 개발자에게 가장 중요한 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임을 부정할 수 없지만, 가장 기초적인 것이라면, 팀 단위에서 협업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을 느꼈다.
- 전체적인 업무 라이프사이클 파악을 할 수 있었던 점
과분히도 좋은 팀원들을 만났고, 나도 개발 업무에 있어서 처음과 끝이 어떻게 진행될 수 있는지를 팀원들과 함께 살펴본 것이 가장 좋았다.
- 컨벤션이나 세팅에 대해 소홀하지 않았던 점
프로젝트를 완성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 결과물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이해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점에서 세팅부터 꼼꼼하게 했던 경험은 추후 프로젝트에서도 분명 도움이 될 것 이다.
- TWL(Today We Learned)을 통해 각자 알게 된 점을 팀원들과 함께 공유하고 리뷰한다는 점
우리 팀의 가장 무기는 역시 문서화였던 것 같다. 엊그제부터 해서 급박하게 일처리를 하던 터라 잠시 보류된 감은 있었는데, 회고를 하며 다시금 기존 어려웠던 점들을 TWL에 남겨봐야겠다.
미란
- 프로젝트다운 프로젝트를 한 기분: 팀 활동은 스크럼에만 그쳤는데 지금은 프로젝트의 완전 처음부터 시작해서 회의도 하고 되게 체계적으로 하고 있는데 이런 경험은 처음인 것 같다. 나중에 진짜 많이 도움이 될 것 같다. 파이널 프로젝트 때도 그렇고 현직에 나가서도 도움이 될 것 같다.
- git을 더 잘 알게 되었다:
git add
와commit
만 하다가fetch
와rebase
를 알게 되었다. 아직 충돌을 겪지는 않아서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한 느낌이지만 추후에는 충돌을 경험하고 싶다. git을 좀 깊게 파고 싶다는 느낌이 들었다.
- 팀워크 측면에서 좋은 것 같다: 팀 단위로 프로젝트 하다 보면 의견 충돌이 커져서 힘들어 지는 경우도 있는데 우리는 계속 대화하면서 이끌어 가는 게 좋다. 되게 많이 배우는 것 같다. 얘기하다 보면 못 알아 들을 때도 있지만 앞으로 계속 배우게 될 것 같아 기대가 된다.
🙁아쉬운 점
민철
- 오프라인으로 함께 모여서 여러 가지 작업을 하다가 시간이 너무 지체된 점이 아쉬웠다: 스스로 개인 작업으로 해결하는 게 나은 상황이 있고, 함께 논의해서 해결하는 게 나은 상황이 있다. 이때 함께 논의하는 부분에서 다소 시간을 비효율적으로 쓰게 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 물론 이 부분은 처음부터 완벽할 수 없고 맞춰가면서 이뤄나가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재영
사실 좋았던 점보다 아직은 아쉬웠던 점이 많았다. 전반적으로 못했다는 느낌보다는 미숙했던 부분에서 단점들이 보였던 거 같다. 다음 번 부터는 실수하지 않을 수 있는 부분이기에 내 단점들에 대해 잘 살펴봐야겠다.
- 좋은 코드에 대한 욕심이 많았던 점.
사실 내가 구현하는 것은 코드 양은 많았지만, 나름 간단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당장 기능 구현이 우선이었는데, 사이드바에 대한 리팩토링에 시간을 할애했던 순간이 아쉬웠다.
차후에는 팀원들에게 먼저 의견을 물어봄으로써 좀 더 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색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주어진 환경에 대한 검토 부족
제공된 API에 대해 미숙하게 이해했던 점이 다소 아쉬웠다.
물론 우리가 주어진 API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 혼선이 빚어지기는 했지만, API를 좀 더 이해하고 적용했다면 어땠을까 싶다.
만약 다음 프로젝트가 있다면, 먼저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자원들에 대해 면밀히 검토할 것이다.
- 데브코스 질의응답을 많이 참고하지 못했던 점이 아쉽다.
다른 조의 사람들이 질문했던 것이 어쩌면 내게도 도움이 될만한 힌트들이 많았을 것 같았다. 시간이 남는대로 꼼꼼히 기존 질의응답을 검토하며 참고할 만한 소스가 있는지 검토해야겠다.
- 너무 질문을 많이 했나 싶기도 하다.
- 문서를 먼저 검토한 다음, 이런 식으로 진행하면 되는지에 대해 미리 정리해서 팀원들에게 질문을 남겨야겠다.
- 질문할 수 있는 시간을 정확히 정해야겠다. 우리 조가 모였을 때 좋았던 점이 있었는데, 몇 시에 다시 만날 것을 리마인드하여 각자 업무를 그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팀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리마인드 때 질문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드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거 같다. 잘 참고해야겠다.
예를 들어 깃 충돌이 발생했을 때, 이왕이면 좀 더 통일적으로 Git을 관리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자주 질문을 했었는데, 여기서 딜레이가 좀 발생한 듯 싶다.
어쩌면 내가 완전히 초보 수준의 능력이라서 그랬기에 이해된 듯 싶었지만, 팀적인 시각에서는 분명 차질이 있던 부분이었던 듯 싶다.
차후 프로젝트에서 궁금한 점이 발생한다면
미란
- 리액트: 이전에는 클래스로만 구현해봤었고 이번에 함수로 컴포넌트를 짜봤다. 훅도 처음 써봤다. 새롭게 해봤다는 점에서는 좋았지만 아직 과제라는 것도 해본 적이 없는 상태에서 프로젝트로 들어가다 보니 미흡한 면이 많았다. 나중에는 데브코스에 올라온 리액트 강의를 다 흡수하고 싶다. 프로젝트 기간에 리팩토링 하면서 배울 것 같은 기대감도 있다.
- 1시간 이상 고민하지 말자고 팀 규칙을 정했는데 이걸 잘 못 한 것 같다: 하다 보면 한 쪽에 치우치다 보니까 시간 조율을 못했던 것 같다. 예를 들어,
setTimeout
과setInterval
을 겹쳐서 써야 해서 어려웠다. 개인적으로 타이머 기능을 테스트하는 것도 힘들었다. 타이머 이벤트를 기다려야 하니까. 팀원들과 더 많이 의논해야겠다.
🤞앞으로 하고 싶은 점
민철
- 지속적인 문서화
- 멘토님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재영
- 질문을 많이 하자
구현하면서 딜레이가 생기면 팀원들에게 질문을 계속 해야겠다. 질문을 문서화해서 해결할 수 있게끔 해야겠다.
내가 더 고민해서 새로운 전략을 가져와서 팀원들에게 피드백을 받으면 좋을 것 같다.
사이드바의 부분도 좀 더 나은 전략이 있을지 질문을 했다면 좀 더 수월했을 것 같다. 따라서 질문을 많이 해야겠다.
- 새로운 기술들도 많이 도입해보고 싶다.
물론 가장 중요한 건 현재 MVP를 최종 구현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현재 MVP 구현에 만족하지 않고 싶다. 아직 좀 더 많이 개발해보고 싶고, 그만큼 현재 프로젝트에 대한 애정이 있다.
- 새로운 기술도 도입해보고 싶다.
우선 당장 요구사항을 빨리 끝내고 도입해야 함에 동의한다. 하지만 MVP에 그친 프로젝트로 남기고 싶지 않다. 아직 더욱 발전시키고 싶은 욕심이 든다.
미란
- 추후에는 git 충돌을 경험하고 싶다. git을 좀 깊게 파고 싶다는 느낌이 들었다.
- 리액트 현재 지금 나온 강의를 다 흡수하고 싶다. 리팩토링 하면서도 배울 것 같은 기대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