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D 관련 포스트를 보다가 저희 프로젝트에서 생각해볼 내용이 있는 것 같아서 올려봅니다.
또한 응용 서비스는 표현 계층에 의존하지 않아야 합니다. 예를 들면 표현 계층의 기술인 HTTP 프로토콜에 대한 것(HttpSession, MultipartFile 등)은 응용 서비스에서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multipart를 추상화한 타입을 만들어야 할까?
“응용 서비스의 메서드 파라미터로 필요한 값들을 넘기는 대신 도메인 객체 자체를 넘기는 것은 최대한 지양하자”
→ 서비스에서 사용자 관련 정보를 활용할 때 매개변수로 user 도메인 객체를 넘겨야 하는가? 아니면 토큰에서 사용자 id만 받고, 컨트롤러에서 사용자 id만 추출해서 전달할까?
(사용자 엔티티 → id → 사용자 엔티티?)
프로젝트가 어느 정도 완성이 되고 시간이 남을 경우 리팩터링을 할 때 한 번 고려해보면 좋을 것
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