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아닌 기능 구현을 먼저 생각할 것입니다.
Jira
이슈 유형 변경
- 스토리, 작업
- 우선순위 : 작업 우선순위 판별을 위해
- Start Date : 작업 소요 일수 파악을 위해
- 기한 : 당연히 들어가야 됨 (언제까지 하겠다.)


- 회의
- 기한 : 언제 회의 했는지 날짜 파악

- 버그
- 우선순위 : 이슈의 우선순위
- 기한 : 이 문제를 언제까지 해결할 것인지
- 코어타임 시작 시간을 더 빨리 정하는게 어떨지
- 문서화 이외에 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 얘기 나누기
- 기획에는 핵심 인원들만 참여해서 하도록 ex) 모스카우
- 프론트가 필요없다고 느낀다면 백엔드 끼리라도 유스케이스 작성
-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같이(안한다고하면 백엔드라도)
- 유스케이스는 공통영역
- API는 스펙만 맞춰놓는다
Request
Response
Endpoint
- 프론트 분들을 게더에 초대해서 마이크만 키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건 어떤지
- 협업 프로세스, 애자일 적인 부분을 어떻게 가져갈건지
- 스프린트, 회고
- 기획에는 핵심 인원들만 참여해서 하도록 ex) 모스카우
- 기획에 관심이 있는지 없는지도 체크해서 관심 없는 사람들은 다른 곳으로
- 시간이 25일이 남았는데 25일은 꽤나 짧은 시간이고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자는 의미에서 기본적인 결정사항들이나 프로젝트 세팅을 목요일 전 까지 완료 시키고 목요일에 바로 기획 마무리와 동시에 구현을 시작하는게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 JIRA 워크플로우, JIRA 활용 능력 상호 체크
- 스프린트 기간(스프린트 1회 일수)
- 배포 설정 (CI/CD 세팅)
- 기본적인 AWS나 Github Action과 같은 CI/CD 환경 조성
- 프론트가 어떤식으로 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배포 방식도 먼저 나오는게 좋을 것 가습니다.
- 깃 레포지토리 생성 및 뼈대 코드 작성
- 기획이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은 설정을 하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 게더를 같이 이용했으면 좋겠습니다.
- new팀 층의 규현팀 방으로 오시면 됩니다.
- 이전에 얘기 했던대로 디스코드는 입장만 해놓은 채로 게더를 위주로 사용했으면 합니다.
- PRTemplate

멘토님 말씀
프론트와 상의 해봐야할 것
배포가 먼저 세팅되어있으면 좋다.
프론트팀 전달 사항
모든 인원이 참여하지 않아도 일부라도 참여를 해서 팀원들에게 전달하고 피드백 받는 방법으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비동기적으로 각자 업무 분담을 해서 진행을 해도 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