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블슈팅
- 팀원들이 현재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 깃헙 라벨을 이용해 현재 작업 중인 이슈를 표기해 어떤 작업을 진행중인지 다른 팀원도 알 수 있게 했다.
-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개더에 상시로 모여 있어 수시로 작업 진행 상황을 공유했다.
- 너무 디테일까지 생각해서 일을 할 때 너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 작은 단위로 쪼개서 체크리스트 쓰는 것으로 완화했다.
- 디테일을 최대한 버리고 틀부터 완성해서 PR하는 것으로 합의해 시간을 PR 올리는 시간을 단축시켰다.
- 중간 보고까지 처음 기획을 어떻게 구현할지 정확한 그림이 잡히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 매니저님께 서비스적으로 피드백을 받고 최종 발표까지 구현 가능한 정도로 기능을 대폭 수정했다.
K
- eslint, prettier, commitizen, husky 사용으로 코드 컨벤션 맞춤
- 브랜치 전략을 먼저 정하고 프로젝트를 시작한 것
- 작업이 정체될 때, 팀원들과 문제되는 것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 실제로 서비스한다고 생각하면서 개발하기
- 처음에 리액트 강의를 다 듣고 진도를 맞추고 시작한 것
- 작업할 게 있으면 이슈부터 작성해서 팀원들과 공유하기
P
- 팀원 간의 개발 실력차로 인한 코드 리뷰와 질문의 편중
- 업무가 분배되어 있는 상황에서 팀장인 정희님께 모르는 것을 질문하게 되면 정희님이 본인의 업무를 진척할 시간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
T
- 전체적인 개발 프로세스 파악이 가능해져서 Top Down 방식도 시도해볼 수 있을듯 하다.
- Typescript 도입
- 나의 현재 기술 구현 수준보다 조금 더 높은 수준에 있는 기술 구현 도전하기
- 비동기 의사소통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