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소개
- 프로젝트 명: Stu-TI(스터티아이) - (Study MBTI)
- MBTI를 통해 잘 맞을 것 같은 스터디를 찾거나 스터디원을 구하는 MBTI 기반 스터디 모집 서비스
- 수행 기간: 07.21.2022 ~ 08.17.2022
- 팀원: ✨Members
기획 의도
회사와 마찬가지로 스터디를 하면서 성격 차이, 리더십 문제 등 사람과 사람간의 갈등으로 인해 많은 스터디가 없어지거나 유지되지 않습니다.


MBTI에 의한 개인-조직 적합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분석 中 결론 첫째, 개인-조직 일치도는 조직효과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개인-조직 일치도가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의 결과와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즉 개인성격과 조직성격이 유사할수록 조직이 더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지각하고, 구성원들의 개인적 직무만족과 조직에 대한 몰입이 높다고 볼 수 있다. MBTI에 의한 개인-조직 적합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분석 - 박영미
표에서 보면 MBTI에 관한 경험이 18-29세 사이에서는 90%이상 보이고 있고 각 리더형, 팔로우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MBTI에 의한 개인-조직 적합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분석 - 박영미 에서 확인할 수 있게 개인성격과 조직성격이 유사할 수록 조직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몰입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MBTI를 통해 MZ 세대 개발자들의 흥미를 돋구고 각 개발자들의 성격을 MBTI로 파악하여 스터디를 오래 유지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수월하게 가기 위한 서비스 입니다.
서비스 타겟
개발자, 개발자 지망생
기대 효과
스터디를 진행하기 전에 MBTI 유형을 파악하여 잘 어울리는 사람끼리 모여 스터디를 만들면
스터디를 더 오래 유지하고 효율적으로 스터디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회원이 가진 지식을 공유하고 싶거나 스터디를 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생겨 도움이 필요한 경우 피드를 이용하여 다른 개발자들과 함께 공부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유저 시나리오
유저 시나리오ERD

와이어 프레임(페이지 별)
기술 스택
FE Language: TypeScript Library & Framework: - React(CRA —typescript) - React-router - Axios - Redux-toolkit - Storybook(js) - mui-icons-material - moment Style: MUI, Emotion ETC: ESLint, Prettier, npm, Figma Deploy: netlify
BE Language: Java 17 Library & Framework: - Spring Boot - Spring Data JPA - Querydsl - Spring Security - Restdocs Communication: Github, Notion Deploy: 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