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백엔드에서 서버를 정상적으로 실행시키고, 약 하루에서 이틀정도가 지난 뒤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했다.
cors에러와 같이 발생했기 때문에 원인을 찾기가 어려웠고, 백엔드 서버가 종료되서 발생한 문제였음을 알았다.

ec2 모니터링에서 CPU 사용률 탭을 확인해보면,

이렇게 되어있다. 최대 퍼센트에서는 무려 97.43까지 CPU 사용률이 올라가는걸 확인했고,
cpu의 용량에 문제가 생긴 것이라 판단했다.
🔥 해결 방법
1. 인스턴스 메모리 확장
ebs 볼륨 확장 작업을 실행했다.
ec2를 생성할 때 추가작업을 하지 않았다면 기본으로 8g의 용량이 주어진다.
프리티어에서는 cpu 용량을 30GB까지 제공하기 때문에 16GB로 확장했다.
- EC2 대시보드 - EBS - 볼륨탭에서 볼륨 수정

- ec2 서버 접속 후 명령어 실행
df -h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아래처럼 나오면 성공이다.
2. swap 추가하기
서버 종료에 대해서 알아보던 중 프리티어에서 제공되는 t2.micro 램이 1GB라는 글을 읽게 되었다. cpu 용량도 문제지만 RAM에서도 문제가 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그래서 ebs 볼륨 확장으로 얻은 HDD를 RAM처럼 사용하게 해주는 효과를 만들어 주는 swap을 사용하면 지금처럼 서버 접속도 안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 같다.
- EC2 대시보드 - EBS - 볼륨탭에서 볼륨 생성

프리티어 용량에 주의하면서 크기를 지정하고, 가용영역을 ec2와 같은 영역으로 지정해서 생성한다.
- 볼륨 연결

볼륨 연결을 클릭해 인스턴스와 연결해준다.
- ec2 서버에서 swap 추가
lsblk
명령어로 볼륨이 추가됐는지 확인한다.
swap 추가를 끝냈기 때문에 [swap]이라고 적혀있다!
마지막 줄에 추가된 용량이 보이면 정상적으로 볼륨이 추가된 것이다.
이후,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재부팅을 해도 스왑이 유지되도록 fstab 파일의 마지막 줄에 추가한다.
스왑이 추가됐는지 확인한다.


앞으로도 서버가 안정적인지 계속 확인해봐야 할 것 같다.
📖 참고문서
상태검사 실패 : https://may9noy.tistory.com/m/355
ebs 용량 확장 : https://m.blog.naver.com/jogilsang/221370362752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서버 종료 : https://sundries-in-myidea.tistory.com/102
swap 공간 확장 : https://www.skyer9.pe.kr/wordpress/?p=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