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Rule
- 미팅 : 13:00
- Core Time : 13:00 ~ 17:00 (월 ~ 토)
: 13:00 ~ 17:30 (일)
Team To Do
- 인프라/DevOps
- CI/CD 정하기
- PR시 GItHub Actions 이용해서 프로젝트 안전성 보장하
- ex) test 성공하는지
- @) 참고
Team Convention
적용하기 위해 공부가 필요한 기술
git submodule
flyway
Demo
중간 Demo 시나리오
멘토님과 소통
팀 07 백엔드 코칭 일지
📘 회의록
- 회의록은 템플릿을 활용하여 작성합니다. (회의록)
- 회의록은 최대한 구체적으로 작성합니다.
- 다음 회의록을 미리 생성 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 기록자 ( 기록자 역할을 수행했다면, 다음 팀원 색칠해주세요! 😄)
- 하하 → 제이콥 → 하니
아직도 많이 남은 할것들
개발
- 크러쉬
- 카운트 쿼리 최적화, 페이지네이션 최적화 (인덱스 쓰는 방법으로)
- s3 image upload 시 uuid 처리 + 파일 확장자 검증
프로필 -> 유저 @Deprecated 생성자, 참조 제거- Spring Security 적용 보충
- Refresh token
- 로그백 설정 나누기
API 문서 build 파일에 두고, endpoint 제공하기
- 같이
- 테스트 코드 작성 일관성을 위한 30분 토론
서비스 테스트, 레포지토리 테스트에도 BaseServiceTest, BaseControllerTest 만들기- @Nest
- 테스트 이름의 prefix는 @Nest 클래스와 통일
- depth 는 하나까지만
- 테스트 이름 = 테스트_메서드_이름 (+ 테스트_결과) (+ 이유)
- 테스트_메서드_이름 : 서비스 혹은 리포지토리의 인터페이스 위의 한줄 주석과 통일
- 테스트 결과가 항상 성공이거나 굳이 필요 없는 경우 생략
- e.g.)
북마크_생성_성공
,북마크_생성_실패_이름이_너무_김
- 테스트 순서는 성공 먼저, 실패
- 반환값의 변수명은 메서드의 앞글자 따기
- e.g.) registedId = bookmakrService.registerBookmark(…)
- 테스트의 전반적인 순서는 프로덕션 코드의 선언 순서와 통일하기
- controller test doPrint 항상찍기
- 북마크 필터링 로직 점검
- 좀 미뤄, 아주 이후
- 테스트 대 개편 이후 → 테스트 s3 모킹
- 댓글, 대댓글 추천기능
- 팔로우 수락 기능 만들어보기
- 알림쪽 서비스 로직 일관성
- 웹소켓 사용해보기
- querydsl
- Dto projection 전 후 시간비교 같은것도 해보기
회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