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활동 및 시작 회고
사전 질문 기반 자기소개
스터디요일 및 시간 확정
세부 진행 방식 합의
금요일 질문 주제 산출
오늘 활동 시작 및 회고
이름 | 컨디션 | 이번 주 각오! | 활동 후 한 줄 느낀점 | 특이사항 |
인수 | 10 - 주말을 잘 쉬어서 너무 좋아요. | 용두사미가 되지 않도록 해주세요 🙏 | 첫날이라 많이 긴장했지만, 앞으로는 더 편하게 소통을 많이 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 | ㅤ |
준혁 | 10- 주말에 푹 쉬었습니다😃 | 이번주 과제도 잘 끝내고 면접 내용 정리를 잘하자😀 | 모르는 개념이 생각보다 많다고 느꼈습니다 😟 | ㅤ |
용상 | 10 - 주말에 잘 쉬고 오전에 운동도 해서 좋습니다. | 하루에 짜놓은 일정을 늦어도 11시 반 안에 마무리 하기! | 처음 참여하는 스터디라 많이 떨리지만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 ㅤ |
연주 | 6점-어제 운동하고 와서 몸이 아픕니다.😭 | 이번주 목표한 주제 다 공부해서 면접에 참여할 수 있기!😤 | 스터디에서 다른 분들과 함께 준비해보는건 처음이라서 부족한 점이 많을 수 있지만 잘 부탁드립니다!😚 | ㅤ |
상윤 | 8점 - 항상 좋지만 10점은 아니에요 | 차근차근히 만들어가는 스터디가 되었으면!! + 함께 성장한다는 것을 배우자 | 좋은 분들과 함께할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 ㅤ |
수경 | 8 - 잠을 설쳤습니닷.. | 대답 잘 할 수 있게 준비하기를.. | 스터디 재미있을 것 같아요!😊 | ㅤ |
사전 질문 및 자기소개
사전 질문 (댓글필수!
)
사전질문 - 댓글에 이모지로 달아주세요~
- 개발 관련 면접 경험(🟢) 혹은 면접 스터디 경험(🔵) 있나요? (없다면 🙅)
- 스터디 참여 활동 목표의 비중 -
(학습 및 복습 : 실제 면접 상황 경험)
- 인성 면접 활동 필요 유무
- 이력서 작성 및 검토 활동 필요 요무
- 원하는 회사 분류
- 자기소개
스터디 요일 및 시간 확정
월 / 금
오후 14시 (오픈미팅 있을 시 오픈미팅 직후 시작)스터디 방식 소개 및 진행 방식 정하기
진행 방식 고민사항
1. 공통 주제 질문의 깊이
- 1) 공통 주제 질문을 1가지로 해서, 완전 deep하게 해부한다.
- 면접에 해당 주제를 유도할 수 있고, 나온다면 자신감있게 해결가능,
- 단 일주일에 1개이기 떄문에 많이 다루지 못함
- 2) 말 그대로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5가지 정도 질문을 준비한다.
- 주제 기반이기 때문에 학습에 조금 더 포커스가 되며,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핵심기출문제를 접할 수 있다.
- 깊이 있는 꼬리 질문이 어려울 수 있다.
2. 기록을 어떻게 할 것 인가 (기록에 대한 방식)
- 면접 스터디가 아닌, 말하면서 배워요 스터디 (학습이라면 학습증거 필요)
- 모의면접 시 기록
- 답변 전부 or 키워드만 기록?
- 피드백 사항 기록
- git으로 할까
- repo
- this 질문에 대한 답변
질문번호 | 질문 | 답변1 | 답변2 | reference link |
1 | closure에 대해 설명해 주시고 example이 있다면 이야기해 주세요ript | ㅤ | ㅤ | ㅤ |
2 | js에서 this란 무엇이고 어디에 사용되나요 | ㅤ | ㅤ | ㅤ |
3 | Difference between “==” and “===” ? | ㅤ | ㅤ | ㅤ |
- 노션으로 할까
- 둘다쓸까?
샘플
질문번호 | 질문 | 답변1 | 답변2 | reference link |
1 | closure에 대해 설명해 주시고 example이 있다면 이야기해 주세요ript | ㅤ | ㅤ | ㅤ |
2 | js에서 this란 무엇이고 어디에 사용되나요 | ㅤ | ㅤ | ㅤ |
3 | Difference between “==” and “===” ? | ㅤ | ㅤ | ㅤ |
스터디 방식 소개
스터디 이유
- 효과적인 학습
- 질문에 말로 대답하는 방식은
내가 해당 지식을 알고있는지 모르는지
,얼마나 정확히 알고 있는지
를 가장 잘 알아볼 수 있는 학습방법입니다. - 면접관 역할을 하는 스터디원으로 부터
즉각적인 피드백
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잘못된 지식의 수정과 보충
이 바로바로 가능합니다.
- 면접전형 준비
- 면접은 합/불을 결정짓는 최종 관문으로, 모든 회사가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준비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아는 것’과 ‘아는 것을 말하는 것'은 분명히 다르고 상당히 어렵습니다.
아는 것을 잘 말하는 것
은 연습이 꼭 필요한 분야입니다. - 면접상황에서의 나의 습관을 점검하고, 면접 상황에 익숙해져 긴장감을 내려놓을 수 있습니다.
데브코스 중 학습방향 및 태도 설정 가능
- 기술면접 뿐 아니라 인성면접을 통해서 내가 어떤 사람이고, 나의 학습 태도와 방향에 대해서 고민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게 됩니다.
진행방법
주 2회(월 / 금) -일정, 횟수 협의😄
: 1회당 2시간 이내 진행 목표
DAY1 (월요일)
- 스터디원 스몰 토크 😀
- 지난 주 모의면접 보충사항 공유 및 이번 주 모의면접 주제에 대하여 의논합니다.
- 모의 인성면접 (
미정
매월 마지막 주) - 개발자 동기, 나의 장단점, 나의 학습 태도, 축적된 학습 증거의 확인
DAY2 (금요일)
- 모의면접(기술) 을 진행합니다. (2시간)
모의면접 구체적 진행방식 (추후 스터디원과 함께 구체화
)
기술면접
- 매주 금요일, 2시간 진행
- 1팀 당 최대 3인 적정
- 2명은 면접관 역할을, 1명은 면접자 역할을 하며 총 3회 진행합니다
- (30분 면접 + 10분 피드백) * 3회
- 기술 면접 질문
- (데브코스) 이번 주 배운 것을 확인하기 위한 질문 (
5 ~ 10개
) - 지난 주 - 알고리즘, HTML, DOM, 명령형 프로그래밍
- React 주에는 React 관련 질문을 중심으로 준비
- CSS 주에는 CSS관련 질문을 중심으로 준비
- 공통 주제에 관한 질문 (
3 ~ 5개
) - 월요일 날 정한 공통 주제에 대하여 공부하고 질문 & 대답합니다.
- 첫 주는 JS 관련 핵심 질문으로 준비
월요일 공유
- 금요일 면접과 관련하여 정보공유
- 어려워서 대답하기 어려웠던 질문들 공유
- 특정 주제에 관한 포스팅 작성하고 공유
- 이번 주 공통 질문 선정 및 분배 (고민1)
- 브라우저 렌더링 (www.google.com) - ARP → - > → 파싱 → 렌더트리 → 페인트( 어떤조건) →
(very deep
점수+
) - deep 정도를 잘 준비말하면 +
1(very deep)
+@(복습)
1안1(deep)
+5(normal)
+@(복습)
2안 - 준혁, 상윤, 연주- 6개 질문 선택 (deep ↔ normal) 1 + 5개
(1회 진행 후 fix)
4월 스터디 일정
1주차
- 학습/복습 질문
- 브라우저 저장소
- 쿠키와 세션
- localStorage
- 비동기
- callback
- promise
- async / await
- 공통질문 (2+자료구조1)
- 스코프와 클로져
- var let const
- 이벤트루프 - 실행컨텍스트 , ...
- this
- +@ 자료구조 ( 스택 & 큐)
2주차
-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 HTTP, REST Full , ...
3주차
- 네트워크 (REST)
4주차
질문 및 마무리
-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