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소개
- 제가 프론트엔드 공부를 시작한게
- 코드를 작성하면 화면에 바로 표시되는 프론트엔드 분야에 매력을 느껴 다음과 같이 프론트엔드를 공부해 왔습니다.
- 이전에 같이 했던 팀과 모각코를 위해 관련 출석체크 앱을 만드는 중
우리맵
- 어떤 프로젝트?
- Next.js를 사용한 이유
- 부트캠프 내에서 배웠던 글들을 블로그 서비스
- SSR로 최적화 된 프로그램
- 기획이 바뀌면서 그 부분을 활용 X → 새로운 프레임워크에 도전
- Next.js의 장점
- SSR
- 페이지 기반 라우팅
- 이미지 최적화 지원
- 경험?
- 담당 X
- 실제 활용가능한 정도?
- hydrate 과정
- 전역 상태 관리는 어떤 것을 사용?
- 사용한 이유
- 한 번 써보고 싶어서
- ContextAPI, 다른 스택
- 두 개의 사용 방법이 비슷해서 큰 장점을 느끼지못함.
- 다만, ContextAPI는 전역 상태 관리보단 prop drilling을 막아주는 역할이 큼
- Recoil 핵심 컨셉
- Atom 기반
- 가공을 해서 컴포넌트에 뿌려주는 역할
- 실시간 알림은?
- SSE와 소켓의 차이를 고민했는지
- 커스텀 훅
- 서버와 연결
- useMe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