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 팀 소개
- 안냐세염~~~~^^
- 맡은 역할까지 … (간단하게)
- 기획
- 프로젝트 전반적인 소개 (주제 .. 기획의도…)
- 기획안을 기반으로
- 아트집 (ArtZip)
- 미술 전시회를 조회하고 후기를 작성 및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 평소에 전시회에 가고 싶었지만, 어떤 전시회가 열리는지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또한 전시회에 대한 정보가 흩어져 있기 때문에 특정 전시회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비특정 다양한 전시회에 대한 정보를 알기 쉽지가 않다. 전시집에서는 특정 전시회 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시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시회에 대한 접근성을 높힐 수 있다.
- 전시를 보고나면 그 때의 감상/기분 등을 오래 기억하고 싶지만 어디엔가 기록해두지 않으면 금방 잊어버리기 쉽다. 블로그에 기록하는 등 기록해두고 오래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만 귀찮아서 하기 힘들다. 전시에 대한 감상평, 인상깊었던 작품 등을 간단하게 기록하고 그동안의 히스토리를 모아볼 수 있는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다.
- 평소에 전시회에 가고 싶었지만, 어떤 전시회가 열리는지 몰라서 가지 못했던 사람
- 전시회의 정보를 모아서 보고 싶은 사람
- 여러가지 전시회 후기를 찾아보고, 전시회에 가고 싶은 사람
- 자신의 전시회 후기를 저장 및 공유하고 싶은 사람
- 미술 전시회에 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 최근 전시회, 인기 있는 전시회, 주변 전시회를 조회할 수 있다.
- 전시회에 대한 후기를 작성 및 공유할 수 있다.
- 전시회에 대한 후기를 커뮤니티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전시회를 시기, 장소 기반으로 검색할 수 있다.
- 문화생활 활성화
- 전시회에 관한 정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 전시 후기를 공유함으로써 전시에 관한 사용자들의 관심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 협업:
Slack, Github, Notion
- 라이브러리:
React.js
- 프레임워크:
Next.js
- 언어:
TypeScript
- 상태 관리
- 전역상태 관리 :
Recoil(동기)
-
SWR(비동기)
- API:
axios
- 스타일:
Emotion
,Antd
,figma
- 배포:
vercel
- 라이브러리 관리:
yarn
- 코드 컨벤션:
ESLint
,Prettier
- 기타:
husky
,lint-staged
기획안 내용
1. 프로젝트 주제
2. 기획 배경 및 동기
3. 타겟 사용자
4. 주요 기능
5. 기대 효과
6. 기술 스택
공통
프론트엔드
- 기술스택 (프론트. 백)
- 협업 방식 +
- 노션
- 슬랙
- 깃
- 칸반보드
- 디스코드
- 프론트 + 백엔드 작업 타임라인 (개발 타임라인?)
프론트 내용
- 와이어프레임, 디자인 시안 (간단하게)
- 브랜치 전략, 피어리뷰, 깃허브 (디스커션, 위키, 깃허브 프로젝트) 쓴거
- 페이지별 기능 (각 페이지별 담당자가 내용을 위키에 정리)
- 페이지별 특별한 기능 .. 챌린징 … 아무튼 …
백 내용
- 브랜치 전략
- PR
- ERD
- CI/CD + 백엔드 인프라
- 도메인별 내용 ⇒ 굳이 나눠서 얘기 안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