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엔드 1년 10개월 경력이 있고 이를 이력서에 쓸 생각입니다. 그리고 약 2년에 가까운 경력이 있긴 하니 백엔드 관련해서 질문이 들어올 것 같습니다. 이렇게 되면 프론트 직무뿐 아니라 백엔드 직무에 대해서도 면접 준비를 해야겠죠? 사실 어디까지 준비해야 할지 감이 잘 안 잡힙니다.
- 리액트 면접을 준비할 때 꼭 알아야 하는 단골질문이 무엇이 있을까요? 리액트에 대해서 어디까지 알아야 잘 안다고 말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리액트와 뷰의 차이점, 어떤 철학을 갖고 있는지. 리액트 훅. 상태관리. 함수형으로 오면서 패러다임. 훅을 쓰면서 어떤 장점이 있는지.
- 내가 써본 리액트 API 깊게 파고들어서. 잘 모르고 쓴 것 같으면 한 번 더 들여보고 정리하는 것을 추천. useReducer, useMemo, useCallback, useEffect에 대해서 얼마나 잘 알고 있고, 관련돼서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방법. 특정 상황에서만 쓰는 훅도 있는데 useLayoutEffect. DOM 조작에 특화된. 이런 것들을 쓸만하게 쓸 수 있는 케이스가 있는데 이런 걸 알고 있는지. useRef. React Advanced API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살펴보기를 추천한다. Suspense ⇒ 비동기 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리액트에서 관심있어 하는 기술이 있나. 자세하게 파본 기술이 있다면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답변을 준비해보자. createPortal.
- 어떻게 컴포넌트를 더 재사용성을 가져갈 수 있게 설계할지. 그런 패턴을 알고 있거나 적용한 게 있는지.
- 실제 코드 레벨에서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물어볼 수 있을 것 같다.
- Redux도 한번쯤은 써보는 걸 추천한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직접 코드를 짜보면서 느껴보고 대답하면 좋을 것 같다. 회사 입장에서는 전역 상태 관리를 써본 걸 기대할 것 같다. 전역 상태 관리는 빼는 추세이긴 한다. 우리가 신경 쓸 게 더 많아지고 사이드 이펙트 측면도 있기 때문에. 어느 프로그래밍이든 전역 상태를 지양하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