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
클래스랑 템플릿 그부분이 궁금했었는데
토끼책을 읽으면서 타입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내가 알고있는 지식이나 비교대상이 있다면 타입에대한 정리
타입도 구분할 수 있다?
예시코드가 꼭 책에있는 예시코드가 아니라 나만의 코드가 있었으면 좋겟다.
내가 책을보고 이해한 머릿속으로 이해한 나만의 코드로 작성하자
나만의 예제를 작성하고 책의 구절을 적자.
생성자 하나를 주 생성자로 만들자?
- 텔레스코핑
- 텔레스코핑에 대해 따라가라(점층적 생성자 패턴)??
- 생성자 재사용을 안하진 않겟죠?
- 텔레스코핑
- 현실세계에서 망원경, 크레인을 생각하자
- 각각 칸칸들이 쌓여 쌓이기도 하지만
- 압축하면 한칸으로도 합쳐진다.
- 도메인 중심개발, 데이터 중심개발
- 생성자나 메서드도 중싱점이 한곳이 있어야한다. 그곳에 몰아 넣어야 한다.
- 결국 한쪽으로 따라오게 되어있다. 가장 안쪽에 있는 놈이 핵심이다.
- 예시 그림을 첨부하면서 더 보충해보자
- 이펙티브 자바에도 나옴.
그래서 생성자에 코드가 아예 없어야하나?
- 메서드에 단일책임을 부여한다
- 하나의 메서드는 하나의 행위만 한다
- 치킨을 먹을거면 치킨만 먹어
- 벨리데이션 유효성 검사에 대해서는 여기서 말하는 코드와는 다르다.
- 벨리데이션 체크는 왜 코드라고 볼 수 없을까?
- new가 강력하지 않았던 것처럼
- 자바가 타입시스템이 강력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런 이유도 있고 양수 음수인지 내가 지정한 범위인지 체크할 수가 없다.
- 내가 받을 파라미터에 대한 검증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 타입변환 같은건 생성자에 있을 필요가 없으니 생성자에 넘기기 전에 맞는 타입으로 변환하는게 더 깔끔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