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
처음에는 낯설어서 두려움이 있는데 구현으로 경험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도서가 잘 되어 있어서추천 도서는 딱히없어서 아무거나 읽어도 좋다.
- 타입을 모두 지정하는것이 더 편한데 정답이 있나요?
- 보통 우항의 값으로 좌항의 타입을 유추하도록 작성
- 시그니처 먼저 생각하고 작성해두면 편함
- 유니온 타입으로 인자를 반환하는 함수는 받는쪽에서 타입을 인지하지 못한다 → 타입단언으로 해결하면 위험하니 지양하자.
- 결론은 연습단계 에서는 타입을 모두 지정하는 것이 좋지만 나중에 사이즈가 커지면 좋지 않다.
usememo / usecallback에 대한 오해
가독성에 악영향, 과한 최적화가 될 수 있음, 최적화에 드는 비용도 무시 못함
reducer의 action함수 안에서의 최소화
안에서 로직을 최소화하고 상태만 변화시키는 것이 좋은데 정답은 없다.
완전한 순수함수는 불가능, api호출은 외부에 의존성을 가지고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생기는 상태관리 때문에
요즘은 reducer자체를 안쓰는 경우도 많다고 함 —> 벨로퍼트 블로그 참조
폴더와 파일 간의 응집도 높이기
관련있는거는 최대한 가까이
css-module, css-in-js 적극 이용하기
똑같은 이름의 클래스네임이라도 스타일을 독립적으로 지정 가능하다던지, 동적으로 변수를 받아서 스타일링을 할 수 있다던지 등등.. 왜 나오게 되었는지 이유를 찾아보는것도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