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 스터디 공유원지[JS] this 키워드this란 this는 객체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하기 위한 자기 참조 변수입니다. this가 될 수 있는 객체의 종류 window 브라우저의 경우 전역에서의 this = window입니다.(Node.js에서 전역 객체는 global) 개발자 도구에 냅다 this를https://velog.io/@1g2g/JS-this-키워드 동현개발자 모드를 깔짝여보자 - Elements편본 글은 학습일기에 성격을 띄고 있어, 가벼운 사용법을 살펴봅니다. 정확한 사용방법을 알고싶다면 공식문서를 참고해주세요.프론트 웹개발을 지향하는 개발자로써, 콘솔에 찍히는 출력값을 보기위해 아무생각없이 열어보는 개발자모드를 어느샌가 제대로는 아니어도 어떤게 어떤거다라는https://velog.io/@doggopawer/개발자-모드를-깔짝여보자-Elements편 진경렉시컬 스코프(정적 스코프)클로저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데 렉시컬 스코프에 대한 얘기가 반복적으로 나와 한번 정리해 보려 합니다. 한 번쯤 생각해 보신 적 있을 거예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우리가 짠 자바스크립트 소스코드를 어떻게 인식하고 처리해서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도출해 줄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소스코드를 2개의 과정, 즉 "소스코드의 평가"와 "소스코드의 실행" 과정으로 나누어 처리해요. 저는 처음에 "소스코드의 평가"과정을 생각하지 못했어요. 단순하게 그냥 코드는 실행된다고만 생각했죠. 하지만 아니에요. 실행을 위해서는 미리 실행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 필요하답니다. 이 단계가 "소스코드의 평가" 과정입니다. "소스코드의 평가" 과정에서는 실행 콘텍스트를 생성하고 변수, 함수 등의 선언문만 먼저 실행하여 생성된 변..https://dev-ea-jung.tistory.com/13 창기 민우minw0_o (박민우) - velogHello universehttps://velog.io/@minw0_o 스프린트 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