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watch Log 설정 방법
결론 부터 말씀드리면 현재 로그백의 구성도는 중앙 집중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cloud-watch 설정 로그도 logback-spring.xml에 포함되어야 한다.❗

먼저 어떤 환경에서 클라우드 와치를 적용할 것인지 선택해야 하는데, 저희는 dev환경에 셋팅을 해야하므로 springProfile name이 dev인 곳을 찾아야 한다.
logback-spring.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include resource="logback/properties.xml" /> <springProfile name="mem"> <include resource="logback/console-appender.xml" /> <include resource="logback/file-db-appender.xml" /> <include resource="logback/file-error-appender.xml" /> <include resource="logback/file-warn-appender.xml" /> <root level="INFO"> <appender-ref ref="ASYNC_CONSOLE" /> <appender-ref ref="ASYNC_DB_FILE" /> <appender-ref ref="ASYNC_ERROR_FILE" /> <appender-ref ref="ASYNC_WARN_FILE" /> </root> </springProfile> <springProfile name="local"> <include resource="logback/console-appender.xml" /> <include resource="logback/file-db-appender.xml" /> <include resource="logback/file-error-appender.xml" /> <include resource="logback/file-warn-appender.xml" /> <root level="INFO"> <appender-ref ref="ASYNC_CONSOLE" /> <appender-ref ref="ASYNC_DB_FILE" /> <appender-ref ref="ASYNC_ERROR_FILE" /> <appender-ref ref="ASYNC_WARN_FILE" /> </root> </springProfile> <springProfile name="dev"> // 여기! <include resource="logback/properties-dev.xml" /> <include resource="logback/console-appender.xml" /> <include resource="logback/cloud-watch-appender.xml" /> // 클라우드 설정 파일 주입! <include resource="logback/file-db-appender.xml" /> <include resource="logback/file-error-appender.xml" /> <include resource="logback/file-warn-appender.xml" /> <root level="INFO"> <appender-ref ref="ASYNC_CONSOLE" /> <appender-ref ref="ASYNC_DB_FILE" /> <appender-ref ref="ASYNC_ERROR_FILE" /> <appender-ref ref="ASYNC_WARN_FILE" /> <appender-ref ref="AWS_CLOUD_WATCH" /> // 클라우드 설정 파일에 어떤 appender를 참조할 것인지!! 명시해 줘야한다. </root> </springProfile> <springProfile name="real"> <include resource="logback/file-db-appender.xml" /> <include resource="logback/file-error-appender.xml" /> <root level="INFO"> <appender-ref ref="ASYNC_DB_FILE" /> <appender-ref ref="ASYNC_ERROR_FILE" /> </root> </springProfile> </configuration>
Cloud Watch log 보는 방법
cloudWatch의 인쪽메뉴에서 로그 그룹에서 S-Fam을 들어간다.

logStream에 표시된 [s-fam] 을 들어간다.
단 여러개가 있을 수 있으니! 최근 일자로 들어가셔야 한다는것!! 잊지 마세요 🙂

짠❗ 로그가 기록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 설정 로그 출력 방식

현재 설정 로그 출력 방식 (가독성이 쬐금 증가 ❗)

git implementeation guide
Iam 주의사항 [필독]
Iam에 대한 오류로
arn 어쩌구 저쩌구 ….policy .... null
이 콘솔에 날 수 있는점!!
- 그래서 해당 iam 역할에 들어가 정책이 어디까지 허용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 권한 정책에 들어가면 이렇게 code 배치에 대한 codeDeploy 설정은 있지만! cloudWatch에 로그를 write하는 권한은 없기 때문에 쓸수 없는 오류로
arn 어쩌구 저쩌구 ….policy .... null
예외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쓸 수 있는 권한을 iam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므로 해당 fullAccess 권한을 주셔야 합니다 ❗

Refer
해당 페이지에 gradle dependency 명령 방식이 compile로 되어 있습니다!.. 이부분을 꼭 implementation으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xml 계행 설정도 혹시 모르니 신경 써주세요! 4칸입니다 🙂